흙 등을 쌓거나 깎아 냈을 때 흙이 자연 상태로 이루어지는 최대의 경사각. 흙 입자간의 최대 마찰력에 의해 정해진다. 비탈면의 각도는 휴식각보다도 완만하게 한다.
역전조류에서 창조류와 낙조류의 흐름 방향이 바뀔 때 유속은 0이 되는데 이 상태를 휴조라 한다.
원심력을 응용하여 만든 철근 콘크리트관. 고안자 Hume의 이름을 딴 명칭. 정식으로는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이라 한다. centrifugal reinforced concrete pipe
통문의 입구와 배출구에서 둑의 흙막이와 문짝의 개폐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인데 토압에 견딜수 있는 구조로 철근 콘크리트가 이용된다. 통문공사의 공비절감을 위해 높이는 높을수록 좋으나 둑의 상하류의 균형을 고려하면 H.W.L 정도까지가 한계이다.
방파제 또는 제방의 꼭대기 부분에 파도의 높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만드는 것으로, 오목면의 단면을 하고 있다.
용지에 여유가 없을 때 계획 고수위까지를 흙둑으로 하고, 여유고에 해당하는 부분 등에 철근 콘크리트의 흉벽을 설치한 제방.
시멘트의 성질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험하려는 시멘트와 표준 모래로 모르타르를 만들고, 플로콘과 플로 테이블을 이용하여 모르타르의 퍼짐 직경을 측정하거나 흐름값 몇 mm라고 표시한다.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 측정의 한 방법으로, 플로 콘과 플로 테이블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퍼짐 직경과 콘 바닥면 내경비의 백분율을 플로로서 나타낸다. - standard sand, Marshll test
여러 가지 문제나 과제를 발생의 흐름이나 순서에 따라서 분석한다든지, 해결한다든지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도표의 일종. 순서나 절차를 룰(rule)화하여 명시한 것.
공사의 공정 관리 네트워크 수법의 일종으로, 네트워크에는 [1]화살선도(arrowdiagram), [2]흐름도 (event diagram), 플로 차트, [3]시간 눈금에 의한 화살선도와 타임 스케줄도 있지만, 화살선도가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로서 일정 계산이나 이론의 해명 등에 사용된다. 흐름도는 더미의 표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성이 용이하다. 타임 스케줄도는 아래 그림처럼 시간 경과의 눈금을 붙여 단위 작업의 시간 경과를 그 눈금에 맞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