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에 부설된 파이프라인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앞바다의 계류 시설에서 육상의 석유 플랜트로 원유를 수송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해양의 바닥으로서 해수와 해저 밑 토석의 경계면을 의미한다.
심해저에서 다른 지형과 구별되어 1천m 이상 높이로 융기해 있는 해저의 산이다. 해저산은 대부분 사화산이며, 원형이나 타원형 형태로서 태평양·대서양의 4천~5천m의 대양저에서 볼 수 있다. 해저산 중에서도 특히 꼭대기가 평탄한 것을 기요 또는 평정해산이라고 한다.
심해저에서 높이 1~3km에 약 1,500km의 폭으로 6만km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양쪽이 대칭적인 산맥을 말한다. 해령 또는 대양중앙해령이라고도 한다. 해저산맥은 갈라지는 판 경계에서 형성된 것이며, 화산활동에 의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해저는 1~6cm/year의 속도로 양옆으로 펼쳐지면서 식으며 이동한다. 대서양중앙해령, 태평양중앙해령이 대표적인 해저산맥이다.
수심 1천~3천m의 해저지각이 형성되는 해령지역, 지각이 충돌하는 해구지역 및 해저활동이 활발한 해저산 지역에서 해저 마그마로부터 분출된 열수가 지하틈으로 상승·침전된 광물로서, 분출공을 중심으로 광상이 발달한다. 함유금속은 환경변화에 따라 다양하며 금 30ppm, 은 700ppm, 구리 10.9%, 아연 29%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해저조광권이라 함은 설정행위에 의하여 정부소유인 해저광구에서 해저광물을 탐사·채취 및 취득하는 권리를 말한다.
잠수하여 해저를 조망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한 선박을 말하며, 스스로 항행할 수는 없다.
해저지형은 크게 대륙붕, 대륙사면, 심해저, 해저산맥, 해구로 구분된다. 이밖에 뚜렷한 기복의 지형으로는 대륙대, 해저산, 평정해산, 해저협곡 등이 있다.
대륙붕과 대륙사면을 가로질러 대양저까지 연결되며 육지의 협곡처럼 경사면이 매우 급한 V자형 해저골짜기이다. 해곡이라고도 한다. 해저협곡은 저탁류에 의한 침식이나 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에 대기 중에서의 침식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