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거더와 철근 콘크리트 상판을 스터드나 지벨 등으로 고정 결합하여 외력에 대해 협력적으로 저항하도록 한 교량. 시공법에 따라 활하중 합성 거더교와 사하중 합성 거더교로 나뉜다.
트러스 구조와 라멘 구조를 혼합한 골조. 일반적으로 한 건물을 이조 구조로 구성하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실례는 많다. - trussed structure, rigid fram
강재(鋼材)와 콘크리트 등 다른 재료가 한 몸으로 되어서 작용하도록 고려된 구조.
H형강. I형강. 강관 등과 철근 콘크리트를 합성한 기둥. 철골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각각의 허용 하중을 합계한 것이 합성 기둥의 허용 하중이 된다.
composed unit cost
상이한 종류의 말뚝을 이은 말뚝. 현장치기 콘크리트 말뚝과 기성 콘크리트 말뚝 등을 이어서 사용한다.
도로의 종단 물매와 편물매(또는 횡단 물매)를 합성한 물매를 말하며, 도로의 최급(最急) 물매를 의미한다. 편물매(또는 횡단 물매)를 I(%), 종단 물매를 j(%)라 하면 합성 구배 S(%)는 로 표시된다.
철골보와 그에 밀착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일부가 한 몸으로 되어서 작용하도록 된 보. - composite slab
교량의 상판 콘크리트의 타설에 있어서 강철제의 거푸집을 사용하고 그 거푸집에 스터드 등을 사용하여 콘크리트와 거푸집의 공동 작용을 기대한 상판 구조. 콘크리트 경화 후 탈형(脫型)할 필요가 없고 또한 필요한 철근량이 적어도 되면 동시에 상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일반화되지는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