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을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하게 한 엷은 강판. 아연 도금 강판에 비하여 내구성이 떨어진다. 제조법은 소정의 치수로 절단한 원판을 한 장씩 용융 주석에 침지(沈漬)시켜 도금하는 열지 도금법과 장척 코일상의 원판을 주석이 용해된 전해조를 통과시켜 연속적으로 도금하는 전기 도금법이 있는데, 후자의 방법에 의하면 품질이 좋은 제품을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다.
(1) 바닷물같이 짠 물. (2) 바닷물
일정한 양의 흙 속에 함유되는 수분의 양. 일반적으로는 물의 무게와 흙입자의 무게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함수비(含水比)로 표시하지만 또 물의 무게와 흙 전체의 무게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함수율을 사용하기도 한다.
흙 속의 함수량을 구하기 위한 시험. 일반적으로는 건조기를 써서 시료토를 110oC까지 노건조(爐乾燥) 시킨다. 또, 원위치토의 시험에는 라디오 아이소토프를 이용한 수분계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moisture content test
성토시의 경고도가 최적함수비일 때 가장 좋은 효과를 얻게 된다. 재료의 자연함수비가 부적합한 경우는 물을 뿌려서 함수비를 높게 하거나 트렌치(trench) 굴착 또는 폭기에 의해서 저하시킨다.
콘크리트의 변형. 응력도 곡선을 해석하는 데 편리하도록 지수식으로 나타낸 것.
함수비란 흙 가운데의 함수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틈사이의 물의 무게와 흙입자의 실질부분의 무게(건조무게)에 대한 비율이다. 측정은 함수량의 시험으로 하는데 측정 결과에 따라 함수비ω는 다음 공식에서 얻어진다.
(1) 흙 속의 흙 입자 무게에 대한 물 무게의 비. 함수비 w, 물의 무게 Ww 흙 입자의 무게 Ws라 하면, w(Ww/Ws)×100(%) (2) 재료의 단위 무게당의 함습량. 대부분은 백분율로 나타낸다. (3) 물체 중에 포함되는 수분의 양.
흙은 토립자와 물과 공기로부터 이루어져 있으나 흙 가운데의 물의 무게(Ww)와 토립자의 무게(Ws)에 대한 비율의 100분율을 함수비라 한다. 함수비(%) w (Ww/Ws)×100, 함수비 가운데 산지에 있는 상태의 함수비를 특히 자연함수비(Wn)라 한다.
함수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이는 지수의 하나. 어떤 흙 속에 함유되는 물의 무게와 그 흙 전체의 무게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따라서 함수율을 w', 함수비를 w로 하면 다음식이 성림된다. w' {w/(100 + w)}×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