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 측량을 할 때 높이를 재는 자. 목제. 경합금제의 장방형 단면이 보통이며, 운반에 편리하도록 일반적으로 3단의 인출식으로 되어 있다.
정밀한 수준 측량을 할 때 전후시(前後視)를 취하는 동안에 표척이 이동하거나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기점(移器點)에 사용하는 철제의 대.
표층은 포장의 최상부에 있고 대개 밀입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아스팔트 포장은 표층 단독의 경우는 하부에 중간층이나 기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부에 시이링재를 만드는 경우가 있고 일반적으로 두께는 50mm 정도이다. 교통차량에 의한 마모와 전단에 저항해서 평탄하고 미끄러지기 어렵고 빗물이 하부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갖춘다.
아스팔트 포장의 최상부층. 교통 하중을 분산하여 하부에 전하는 구실 외에 안전하고 쾌적한 미끄럼 저항성과 평탄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치밀하고 불투수성이지만 기능을 부가한 배수성 포장도 있다.
[1] 아스팔트 포장의 표면에 있으며, 2 ~ 3cm 이상의 두께의 아스팔트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층. [2] 기반보다 위에 있는 지층.
해양의 표층에서는 무역풍·편서풍 등 탁월풍에 의해 많은 에너지를 공급받아 풍성순환이 일어나는데, 이를 표층 순환이라 한다.
지진 기반보다 상부의 지반에서 지진파가 그 지진 특성에 따라서 여러 가지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부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기반에서 입사하는 파동은 이 부분에서 증대된다.
표토를 제거한 지표 부분의 지질을 특히 상세하게 나타낸 지질도.
표층에서 같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 수괴로서 고온의 특성을 갖지만 항상 고염분 특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층수라고도 한다.
암석이 풍화되어 생성된 토양이 지표에 퇴적되어 있는 것. 또는 암석 표면이 풍화되어 원 위치에서 토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기반에 대하여 표토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