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나 흙 등의 입도(粒度) 재료를 구분하는 체. 골재용으로는 호칭 치수가 0.088, 0.15, 0.3, 0.6, 1.2, 2.5, 5, 10, 15, 20, 25, 30, 40, 50, 60, 80, 150mm 의 것을 사용한다. 흙의 입도 분석에서는 74u ~ 50.8mm까지 12단계의 체를 사용한다.
재료의 기성품의 표준 치수. 예를 들면, 강판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치수는 3×6, 4×8, 5×10처럼 피트 단로 폭×길이로 호칭된다.
측정값의 불균일 정도를 나타내는 값. 표준 편차는 다음 식으로 구한다.
하수 처리에서 오래 전부터 쓰이고 있던 활성 오니법. 일반적으로 폭기(曝氣) 시간 6 ~ 8 시간, BOD 용적 부하 0.6 ~ 0.8kg /m3. 일로 설계된다. 배설물 정화조에서는 처리 대상 인원 5001인 이상에 적용된다.
종래에 널리 이용되어 왔던 오니법. 제2차 대전 후 개발된 스텝 에어레이션, 모디파이드 폭기법, 바이오숍션, 고속 에어레이션 침전조 등의 활성 오니법의 편법으로 이용된다. - activated sludge process, modified aeration
위험단면(철근의 강도가 도달되는 단면)과 90° 갈고리의 외단에서의 접선사이의 최단길이
시멘트의 강도 시험에 사용하는 모델.
모래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불순물의 유해량을 결정할 때에 사용하는 액. 10%의 알코올액으로 2%의 탄닌산 용액을 만들고 그 2.5ml를 3%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 97.5ml에 가하여 이것을 400ml의 병에 넣어 24시간 정치한 것을 이용한다.
한나라 또는 한 지방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그 지방만의 평균태양시를 말한다. 대부분의 나라가 그 나라 고유의 표준시를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동서로 길이가 긴 나라에서는 여러 개의 표준시를 쓰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동경 135°의 지방평균시를 표준시로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표준시는 세계시보다 9시간 앞서있다.
CPM방식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되는 소요시간을 표준시간이라 하고 그때의 필요경비를 표준단가라 한다. 어떤 방법을 강구해서 시간을 단축한 것을 특급시간이라 하며, 그 때의 필요한 경비를 특급단가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