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의 표면에 부착해 있는 물의 양. 보통 표건(表乾) 상태에 대한 중량 백분율로 표시하며 콘크리트 배합의 설계시 이용된다.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는 골재의 표건 상태가 전제 조건이기 때문에 표면 수량을 측정하여 배합 수정한다.
골재의 표면 수량을 측정하는 시험.
개수로(開水路)의 자유 수면에서의 유속.
강수(降水)가 하천으로 유입하는 성분 중에서 하천의 유로(流路)에 도달하기까지 지표면만을 흐르는 부분. 즉 강수 성분 중의 침투, 차단, 증발산, 표면 정체 등의 각 손실을 빼낸 부분.
액체는 표면을 작게 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외력의 작용을 배제하면 거의 구슬 모양으로 된다. 이 현상은 액체 분자간의 인력에 의한 것이고, 그 결과로서 액면에 접하여 일종의 장력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이 장력을 말한다.
흐름 속에 놓여진 물체 또는 하상과 같은 경계면에서 흐름과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마찰 저항이라고도 하며 표면 거칠기의 영향이 크다.
콘크리트 윗면을 진동에 의해 다지는 기계. 콘크리트 포장 등에 쓰인다.
어스 댐이나 록필 댐 등의 저수가 제체(堤體)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체의 상류측 표면에 만드는 불투수성의 벽. 그림처럼 사용되며 재료로는 철근 콘크리트. 아스팔트. 강판 등이 이용된다.
필 댐 중 상류면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의 차수벽을 가지며, 이것에 의해 댐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것.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우는 두께 30 ~ 60cm 정도의 철근 콘크리트제로서 한 변 10cm정도의 사각 블록으로 나누어지며 블록간의 이음에 지수판(止水板)이 만들어진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경우는 두께 10 ~ 15cm로서 이음은 없다. 이 경우 슬래브는 10 ~ 15cm 정도의 것을 2 ~ 3 층으로 겹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댐 본체의 상류면에 표면 차수벽을 갖는 형식. 제체(堤體)의 미끄럼 파괴에 대한 저항이 크고, 비탈면 물매를 급하게 할 수 있으므로 흙쌓기량이 적어 경제적으로 되는 이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