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435/1604)

저서생물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표영환경에서 떠다니거나 헤엄치며 생활하는 생물을 총칭하여 표영생물이라 한다. 표영생물은 크게 수표생물, 플랑크톤, 유영동물로 구분할 수 있다.
담수나 해수의 수생환경을 말하며, 그 바닥은 저서성이라 한다. 해양생태계는 보통 바닥의 저서계와 물속의 표영계 2개로 나누어진다. 순수한 의미로 표영환경에서는 빛·온도·염분 변화와 같은 수직변화만 존재한다. 중력과 함께 이들 세 변화는 동물·식물이 침강하지 않기 위한 적응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표영식물은 식물플랑크톤을 말하며, 표영동물은 동물플랑크톤과 물에서 생활하는 부어류를 말한다. 표영환경은 여러 수심대로 구분되어진다.
표유수로는 하천수와 호수나 늪의 물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의 짝이 되는 것으로서 지하수가 있다. 상수도의 원수는 이같은 표유수에서 구하는 것이 가장 쉽고 가격도 헐하며 또한 편리하다.
내생동물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게·새우·불가사리와 같이 해저의 표면에서 살고 있는 해저동물을 말한다.
변형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기준이 되는 2점간의 상대 변위(일그러짐)를 측정하는데 이 2점간의 처음의 거리를 말한다.
어떤 구간에 열차가 운전될 때 도중 정차역의 정차 시분과 순운전 시분을 합계한 도달 시분에서 거리를 나눈 평균 속도.
평판의 설치에 있어서 정확하게 표정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오차. - orientation
사진 측정에 있어서 상호 표정(標定)에 필요한 것. 이 경우는 위치나 높이는 알 수 없어도 2매의 사진으로 명확하게 찍을 수 있는 것이 제1요건이다.
뼈대 부재의 강도를 무차원화하기 위한 기준량. 강도를 표준 강도로 나눈 것을 강비(剛比)라 한다.
선로의 어떤 구간에 있어서 1km 떨어진 두 지점의 고저차를 1000분율로 표시한 것으로, 열차에 대해서 가장 급한 오름 경사 또는 내림 경사로 되는 경사라 한다. 이것은 열차의 속도, 견인 중량의 대소를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또 구간의 거리가 1km 미만인 경우는 그 길이에 대한 고저차를 1000분율로 표시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