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치에서의 지반 조사의 보편적인 방법. 로드 끝에 외경 5.1cm, 내경 3.5cm, 길이 81cm의 스플릿 스푼 샘플러를 부착하고, 보링 구멍 내에서 무게 63.5kg의 해머를 높이 75cm에서 낙하시켜 30cm 관입시키는 데 요하는 타격 횟수(N값)를 측정하는 시험. 사질토의 경우에는 N값에서 전단 강도나 모래의 압축성 등을 판정할 수 있으며, 지반 지지력의 추정에 쓰인다. 점성토의 경우에도 일단 가늠을 할 수 있으나 오히려 토질 자료의 채
보울링(boring) 구멍 밑 등을 이용해서 무게 63.5kg의 해머를 높이 75cm에서 낙하시켜 이것으로 하여금 깊이 30cm의 관입량에 미치는데 필요로 하는 타격 회수를 조사하고 이것을 N값으로 정해서 N값의 대소에 따라 지층의 강약을 판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지반중을 전하는 지진파의 속도에 의해서 지층의 강약을 판정하는 방법이다.
(1) 궤간 1.435m(4ft 8.1/2in)를 표준 궤간이라 하고 이보다 넓은 것을 광궤(廣軌), 좁은 것을 협궤(挾軌)라 한다. 우리 나라 철도는 1.435m인 표준 궤간을 채택하고 있다. (2) 궤간 측정, 수준 측정, 캔트(cant) 측정 등에 사용하는 기구. 보수 및 점검에 사용되고 있다.
항공 관계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표준 대기는 ICAO(국제 민간 항공 기구)에서 정한 일종의 대기 모델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다. [1] 공기는 완전한 건조 기체일 것, [2] 해면위(海面位)에서의 기온은 15℃, [3] 해면위에서의 기압은 1013.3mb, [4] 대기권 내에서의 기온 체감률(遞減率)이 0.0065℃/m 이며, 표고 11,000m 에서의 기온이 -56.5℃의 일정값을 갖는다. - selected basic length of
시멘트 세기의 규격 시험을 하기 위해 규정되어 있는 모래.
고력 볼트의 목표 체결력에 해당하며, 체결시의 오차. 변동 등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 볼트 장력의 10%증으로 하고 있다.
고력 볼트에 있어서 볼트에 소정의 조임력(설계 볼트 축력)을 주기 위하여 현장에서 죌 때의 축력의 크기.
고속 살수 여상법에 반대되는 말로, 그 차이는 주로 여상에 대한 수량(水量) 부하 및 BOD 부하의 크기에 의한다. 표준 살수 여상법에서 살수량은 여상 면적 1m2당 1일 1 ~ 3m3 BOD 부하는 여재 1m2 당 1일 0.3kg 정도를 넘지 않으며, 고속 살수 여상법에서는 수량 부하 15 ~ 25m3/m2/일, BOD 부하는 1.2kg/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