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면의 한 점의 파형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장치. 추측식(追測式) 파고계, 실체시식(實體視式) 파고계 등이 있다.
재료나 구조물이 파단한다든지 망가진다든지 하여 외력에 저항할 수 없게 된 상태.
[1] 파괴 하중을, 하중을 가한 채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 작용한 하중에 따라 인장 강도. 압축 강도. 전단 강도라 한다. [2] 파괴 하중을, 파괴할 때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 - breaking load
재료가 파괴할 때의 응력도.
재(材)가 외력을 받아서 파괴하기까지 단면이 탄성 응력 분포를 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탄성 공식으로 구한 최대 응력도. 참의 파괴 응력도가 아니고 지표로서 쓰고 있다.
소성 상태에 있는 고체에 다시 힘을 가하면 소성화가 진행하고, 나아가서는 그 고체의 힘에 대한 지지 능력이 극단적으로 감소하여 고체는 파괴한다. 이러한 파괴가 생기기 시작하는 기준. 또한 완전 탄소성체에서는 항복 기준과 파괴 기준은 일치한다. 파괴 조건이라고도 한다. failure criter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