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흐름을 정지(靜止)시키든가 또는 매우 완만하게 하면, 수중에 포함된 토사는 단순히 중력만으로 침강하여 적체하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
불필요한 토사를 버리는 곳. 하나의 공사에서 발생하는 굴착 토사로서 도로 묻거나 다른 곳에 이용하고 남은 잔토를 처분하는 장소이다. 대량의 경우는 미리 면밀한 사토(捨土) 계획을 수립해 둘 필요가 있다. 즉, 가능한한 공공적 사업 예를 들면, 도로, 택지 조성, 토지 개량 등 사업 주체자와 사전 협의하여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배려해야만 한다. 토질 이외의 이유에 의해 토사장의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는 용지 매수 또는 보상 등에 의해 해결하는 경우도
배사문 혹은 사토수문이라고도 한다. 침사지에 멎은 모래를 배출하기 위해서 배사로의 말단에 설치한다. 게이트(gate)는 스루스케이트(sluice gate) 혹은 스루스밸브(sluice valve)를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집중 호우 등에 의해 산사태가 일어나 토석이 물과 함께 하류로 세차게 밀려 떠내려 가는 현상. 파괴력이 대단하여 토석류에 의한 피해는 매우 비참하다.
물과 토사가 함께 흘러나가는 현상. 흘러내리는 거리가 길고, 이동 속도가 크다. 대책으로서 사방 댐이나 유로구(流路口)의 건설이 행하여 진다. debris flow
흙과 돌의 유출을 막거나 혹은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토석 유출의 방지를 위해서는 원칙으로서 계획 토석유출의 30%이상을 모래가 쌓이도록 1개당의 댐규모를 정한다. 토석유출의 완화를 위해서는 흙의 유출형태를 토석유출의 형태보다 소류상태로 바꾸도록 위치, 높이, 모양 및 수를 정한다.
표층 혹은 그보다 깊은 층을 포함해서 흙의 종류나 성질 등을 기록한 그림.
일정한 토크로 너트 부분이 파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축력이 도입되도록 되어있는 특수한 고력 볼트.
흙의 압력을 토압이라 한다. 옹벽, 흙막이공, 널판공 등은 산지 또는 흙쌓기 압력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토압의 계산방법은 많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이 쿨롱의 토압론이나 랜킨의 토압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