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끊기와 흙쌓기의 평형을 배려하면서 흙의 이동을 되도록 경제적으로 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
흙이 지산(地山)에 있는 상태와 굴착한 경우, 그것을 다시 다진 경우에 각각 단위 체적의 중량이 달라진다. 이것을 지산을 기준으로 하여(이 때의 토량을 1로 하여) 각 상태의 변화의 비율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흙은 산지에 있을 때 그것을 헐어 운반할 때 이어서 그것을 다질 때는 제각기 상태에 따라 부피가 변화한다. 그 비율을 변화율이라 하고 대개 L과 C로서 표시한다. L과 C의 값은 시험시공 등에 의해서 구하거나 아래 도표와 같은 개략치에서 추정할 수도 있다.
박는 기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충격식 : 드롭해머(drop hammer), 스틸해머(steel hammer), 디이젤 해머(diesel hammer), 2) 진동식 : 바이브러 해머(vibro hammer), 척해머(chuck hammer), 3) 정하중식 : 유압식 말뚝 압입기, 오우거(auger)식 말뚝압입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진동을 이용하는 것 : 진동식, 공진식, 진동 충격식 등이 있고, 2) 조용한 힘을 이용하는 것 : 보오스 인발공법, 유압식공법, 3) 충격력을 이용하는 것 : 공기의 압력을 응용하는 방법과 폭발력을 응용하는 방법이 있다.
civil engineering
도로. 철도. 교량. 하천. 발전 수력. 항만. 상하수도 등에 관한 공공 시설이나 구조물을 건설 또는 보수하는 공사.
도로. 철도. 교량. 하천. 발전 수력. 항만. 상하수도. 도시 계획 등에 관한 공공 시설의 계획 설계 또는 시공에 관한 학문. 측량학. 구조 역학. 수리학. 토질 역학.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 공학. 토목 재료학 등은 그 기초 부문에 해당한다. 또 인접 과학은 지진학. 지질학. 기상학. 해양학. 천문학. 농업 공학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