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량의 단위. 전류 1암페어가 1초간에 보내는 전기량. 기호 C. 프랑스의 물리학자 C. A. de 쿨롬의 이름을 딴 것.
평면상의 물체에 그 평면과 평행한 힘을 걸었을 때 마찰력 이하에서는 활동(滑動)하지 않고, 마찰력과 같은 힘을 가했을 때 활동을 발생하여 일정 반력이 되는 상태.
벽, 직선 미끄럼선과 지표면으로 둘러싸인 쐐기 모양의 흙덩어리를 생각하고, 소성 평형 조건에서 유도되는 토압. 주동과 수동의 두 토압이 있다.
흙의 전단 강도는 흙 입자의 점착력과 마찰력으로 이루어지며, s c + σ tanψ로 구한다. 여기서 s : 전단 강도(kgf /cm2), c : 점착력 (kgf /cm2), σ: 파괴면의 수직 압축 응력 (kgf /cm2), ψψ전단 저항각(도).
흙의 전단 강도를 점착력과 내부 마찰각에서 구하는 공식.
1773년 쿨롬이 강체(剛體)의 역학에 기초하여 제안한 이론으로, 주동 통압은 다음 식으로 나타낸다.
냉각 장치. 댐 제체(堤體)처럼 큰 덩치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되면 타설(打設) 후 경화열이 축적되어 냉각에 장시간이 요구되며 균열의 원인이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리 쿨링이나 파이프 쿨링법을 이용한다. 또한 함수비가 특히 높은 연약지에서의 터널 공사 등에서 흙막이를 실시하지 않고 토사를 동결시켜 소굴(素堀) 공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냉동 장치가 있다. 원리적으로는 냉장고나 냉동기와 조금도 다를 바가 없으며, 냉매에는 암모니아를 이용한
사질토가 물로 채워지고 외부로부터 힘을 받으면 물이 압력을 가져 모래 입자를 움직이기 쉽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사질토는 물에 뜬것과 같은 상태(액상화)로 되는데 이런 현상을 퀵 샌드라 한다. 퀵 샌드가 발생하면 지반은 지지력을 상실하며 모래가 지표면으로 뿜어 올라오는데 이런 현상을 보이링(-泥)이라 한다. 이상의 현상을 모식적으로 그린 것이 그림(침투 수압)에 나와 있다. 모래의 수중 중량보다 침투 수압이 커졌을 때 모래는 물에 떠 있
예민비(銳敏比)가 극히 높은 찰흙. 일반적으로는 액성(液性)지수가 100%이상인 것을 말한다.
나무 트러스 또는 목재 거더교나 철재 거더교의 보강에 이용되는 트러스 구조. - king post tru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