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블(shovel)굴착기의 일종이다. 조개 껍질모양의 한쌍의 바께쓰를 지면에 밀어서 흙을 움켜 잡아 굴착한다. 움켜 잡는 기구는 와이어 로프에 의하는 센터플방식과 유압방식 등이 있다.
그랩 준설선은 그랩 바께쓰 1개를 가지고 준설한다. 크랩 쉘형 바께쓰는 2개의 잡는 기구로 된(무 장의 조개 모양) 바께쓰인데 그 종류에는 1) 프레이트 그랩 바께쓰 2) 하아프타인 그랩 바께쓰, 3) 호울타인 그랩 바게쓰가 있다. 최근에 대형화하는 경향이 있는데 1947녕에 4.0m3였고, 1962년에는 6.3m3인 것이 요즘에는 초대형의 25∼40m3가 제작되고 있다.
크럼 셀 버킷을 말하며, 흙공사용 굴착기의 일종. 붐을 매단 버킷을 입이 열린 상태에는 낙하시키고, 그것을 닫아 토사를 담는다. 작업 면적이 좁아도 되므로 버팀대가 있는 굴착 공사 등에 쓰인다.
정정(靜定) 트러스의 부재 응력을 시력도(示力圖)에 의해서 구하는 방법. - force diagram
격점(格点)에서 하중, 지점(支点) 반력, 부재 응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이 힘들의 힘의 다각형이 폐합(閉合)해야 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트러스의 부재력을 도해한 것으로, 그 방법으로 트러스의 미지 부재력을 구하는 경우 미지 부재력은 둘 이내이어야 한다.
볼록형 종단 곡선 또는 그 꼭대기.
용접의 경우, 용착 부분의 종단에 형성된 움푹 패인 부분.
주행 크레인의 주행 레일을 받치는 거더.
중량물을 동력으로 끌어올려서 수평 이동시키는 하역 기계. 창고. 공장. 항만. 공사 현장 등에 설치된다. 동력에는 전력. 증기 동력. 내연 기관 동력. 수동력이 있다. 종류에는 천장 크레인. 지브 크레인. 문형 크레인. 탑형 크레인. 부양식 크레인 등이 있다.
안벽이나 방파제의 공사에서 방괴 케이션, 말뚝 등의 중량물의 운반장치에 쓰인다. 능력은 1000t∼3000t의 대형 비자항선의 구별이 있으나 일반적인 선박에 비교해서 큰 앵커를 가지고 있다. 탑제크레인의 종류에 따라 지브 고정식, 지브 부앙식, 선회 부앙식, 수평 인입식으로 분류한다. 동력은 디이젤 일렉트릭식과 디이젤 하이드로릭식이 일반적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