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용 콘크리트의 운반에는 대개 아지테이터 트럭이나, 덤프트럭이 사용된다. 반죽해서 타설할 때까지의 시간은 1시간을 넘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운반도중에는 가급적 재료가 분리되지 않는 방법을 취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건조하지 않도록 천이나 그 밖의 방법으로 표면을 보호하지 않으면 안된다.
콘크리트 댐의 각 블록의 높이(lift)에서 이루어지는 수평 이음면은 댐의 일체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하므로 쇠솔(wire brush)이 전동브러쉬 혹은 워터 제트(water jet)에 의한 green cut 공법 등을 이용해서 잘 세척해 둘 필요가 있다. 세로이음에 있어서 강판이음과 비닐 지수판 이음을 타설에 따라 용착해서 지수성의 향상을 꾀한다.
일반적으로는 표준 공시체의 재령 28일의 압축 강도로 나타내며, 180 ~ 400kg/cm2 정도이다.
지반위에 직접 콘크리트 기초를 할 경우 또는 깬돌을 펴는 경우에 지반의 凹凸을 평균화하기 위해서 콘크리트를 얇게 타설한다. 이것을 콘크리트 펴기 또는 베풀 콘크리트라고도 한다.
재령 28일의 설계기준 강도 σ를 기준으로 휨 압축, 전단, 부착, 지지압의 각 응력의 허용값을 정한 것.
시멘트 콘크리트의 포장 가운데 노반을 제외한 콘크리트의 포장자체를 말한다. 그 두께는 교통량의 구분에 따라 다음 값을 표준으로 한다.
콘크리트의 댐과 기초암반과의 접촉면에서 댐 본체와 기초의 일체화를 꼬할 목적으로 행하는 그라우팅이다. 미리 주입관을 설치하는 방법과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암반까지 구멍을 뚫어서 그라우팅을 하는 방법 등이 있다.
biosorption method
콘크리트의 탄성 계수나 건조 수축, 크리프 등을 계측하는 장치. 탄성 계수를 측정하는 경우는 시험체 측면에 세로 방향의 두 점에 강구(鋼球)를 박아 넣어서 2점간의 길이 변화를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