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에 이상이 있을 때는 그 원인을 추궁하지 않으면 안된다. 추궁방법의 하나로 층별이 있다. 충별은 데이터로 원인에 대한 추궁을 쉽게 하도록 재료별, 기계별, 로트별로 나누어 개별로 추궁하여 각 층에서 또다시 모든 원인을 추궁해 가는 방법이다. 층과 층 사이의 차이가 커지도록 해서 대책을 쉽게 한다.
연약 지반의 각층의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둥 모양의 매설 계기. 크로스 암식 침하계 등의 기계적 방법에 의하는 것과 침하 소자식 침하계와 같은 라디오 아이소토프나 전자(電磁) 작용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부족류를 제외한 소라, 달팽이 등 연체동물의 구강에서 볼 수 있는 톱 비슷한 줄 모양의 기관이다. 표면에 키틴질이 많은 작은이가 횡렬로 널어서 있어 구강에서 내밀어 먹이를 잡는 역할을 하며, 분류학상 중요한 특징이다.
홍수나 높은 조수 등에 의한 재해를 막기 위해 물의 계열을 일관해서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치수의 계획은 홍수의 처리계획과 사방계획을 종합적으로 관련시켜서 결정한다.
도면에 길이. 높이. 폭 등의 치수 숫자를 표시하는 것. 치수선을 따라서 도면의 아래 또는 오른쪽에서 읽을 수 있도록 기입한다. 치수선을 끊고 기입하는 경우도 있다. 단위는 원칙으로서 mm이며, 단위 기호를 붙이지 않는다. mm 이외는 그 단위 기호를 붙인다. 치수는 외형선에 직접 기입하기도 한다.
치수선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도형에서 끌어낸 선.
치수선을 그을 때 양끝에 인출한 선. 치수선과 동일한 0.2mm이하의 가는 실선이다.
부재 또는 구조물의 길이를 나타내는 선. 0.2mm이하의 가는 실선으로, 양 끝에 화살표가 붙든가 (.)표시가 붙는다.
[1] 평판(平板)을 설치할 때 평판상에 취한 점과 지상의 측저이 동일 연직선상에 있도록 하는 것. 이것에는 구심기(求心器)를 사용한다. [2] 측량 기계의 중심과 지상의 측점을 동일 연직 선상에 합치시키는 것으로 구심이라고도 한다.
[1] 평판 측량에서 측점을 지나는 연직선과 평판에 취한 점과의 편차. [2] 기계의 중심과 측점을 지나는 연직선과의 편차. - cent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