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수문은 하천 기슬에 직접 설치하는 취수시설인데 주로 하천의 중류부로부터 상류부에 걸쳐서 이용된다. 취수문의 바로 하류부에는 취수 댐을 만들어 수위를 높혀서 취수를 쉽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천. 호수. 저수지의 임의의 깊이에서 취수를 하기 위한 탑. 수중에 세워진 탑에는 수위의 변화에 따라 종종 취수구가 설치된다.
하천의 중. 하류부나 호수 또는 늪 및 저수지 등의 수심이 약간 있는 곳에서 취수하는데 이용된다. 대개 철근, 콘크리트제로 하천에 만들 경우는 세굴하지 않게끔 바닥을 잘다져 두어야 한다.
취수관의 상류 끝에 즉 취수구에 설치하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 콘크리트로 된 틀이다. 수위의 변동에 대비하여 수위차가 많을 때 검불의 관유입을 막기 위해서 전면에 스크린(screen)을 설치한다.
물체가 힘을 받았을 때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혹은 일으켜도 매우 작은 변형으로 파괴하는 성질을 말한다.
토공에 있어서 용토(用土)가 부족할 경우에 흙을 파가는 장소를 말한다. 취토장의 선정은 다소 멀리까지도 조사의 대상에 넣어 기대할 수 있는 전체의 후보지에 관해 토질, 토량, 지하수의 상황, 관련 도로, 지상권의 상황 등을 검토한다. 용토의 양부에 따라 설계. 시공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양질토를 우선하는 경우도 있다. borrowing-pit
수평각 또는 연직각(鉛直角)을 측정하는 것. 3각법을 응용하여 테이프 줄자만으로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트랜싯 또는 경위의(經緯儀) 를 사용한다. measuring of an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