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적으로 구조물이나 재료에 작용하는 하중. 충격 하중은 그것이 조용하게 작용할 때보다도 구조물에 생기는 응력 등이 커지므로 충격 효과를 갖는 적재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 부분에 있어서는 하중이 할증된다.
활하중의 진동 등에 의한 하중의 증가분. 교량의 설계에서는 주하중의 하나이며, 도로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충격 하중에 의한 부재력(휨 모멘트나 전단력)은 활하중에 의한 부재력에 충격 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충격 시험으로 구해지는 흡수 에너지를 kg.m/cm2의 단위로 한 것. 강재의 규격에도 규정되는 경우가 있다.
매우 단시간에 피크값에 이르고, 순간적으로 원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의 진동.
와이어 로프의 선단에 부착한 비트를 낙하시킴으로써 구멍 바닥의 토사나 암석을 충격에 의해 분쇄하고, 파낸 흙 등(슬라임)은 파이프 바닥에 밸브를 붙인 베이러에 의해 채취. 배제하며, 굴진, 굴착해 들어 가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은 슬라임의 제거, 구멍 바닥 흙의 교란, 샘플러의 수직성 등에 난점이 있기 때문에 로터리식 보링의 사용이 부적당한 경우(해상작업 등의 특수 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비트를 들어올려 낙하되는 충격에 의하여 구멍을 뚫는 보링 기계.
극히 짧은 시간내에 급격히 충격을 파를 말하며, 흐름이 굴곡부에 오면 굴곡하는 점 부근에서 유속이 작아지고 수면이 상승함으로 이때 발생하는 파랑이 충격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