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동기에서 실제로 동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출력. 정미(正味) 마력이며, 축동력을 말한다.
부재의 축상에 부재를 압축 또는 인장하는 힘이 작용했을 때 부재 내부에 생기는 응력을 단위 면적당의 힘으로 표시한 것.
부재의 축방향으로 배치한 철근
철근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그것의 축방향으로 넣은 철근. axial reinforcement
(1) main reinforcement, longitudinal reinforcement (2)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서 부재의 휨 응력에 의해서 생기는 인장 또는 압축력에 저항하기 위해 배치하는 철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
부재의 재축(材軸)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기호 N, 단위 kg, t. 서로 흡인하는 인장력과 서로 압축하는 압축력이 있다. 인장력을 양(+), 압축력을 음(-)으로 구별한다.
부재에 생기는 축방향력(응력)의 크기를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응력도의 일종으로, N도 또는 A. F. D라 약칭한다. 크기를 재축(材軸)에 수직으로 적당한 길이로 잡고, 인장 응력을 양으로 하여 축의 위쪽에, 압축 응력을 음으로 하여 축의 아래쪽에 그린다.
가축도 대규모로 기르는 일이 많아지면서 가축의 똥과 오줌, 냄새, 시끄러운 소리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시골에서는 더러운 물질을 처리하는 시설이 되어 있지 않아서 그대로 하수구나 강으로 보내는 실정이다. 여름에는 벌레가 모여 사는 장소로 전염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많다. 단순한 오염원으로 보이는 축산폐수 문제가 이처럼 난감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궤도역학에 있어서 레일에 평행하는 힘을 말한다. 레일의 온도변화에 의한 것이 가장 큰데 차륜의 역행 혹은 제동시의 차륜에 대한 마찰력도 레일의 축압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