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로부터 기체 상태로의 물질의 변화이다. 증발시 용존 물질은 용액에 남으므로, 해수에서 증발은 염분도를 증가시킨다. 해수면으로부터 증발은 공기 중의 낮은 습도나 강한 바람에 의하여 촉진된다.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인 잠열은 수온을 차갑게함으로써 얻어진다. 아열대지방에서 증발이 많으며, 가장 고농도의 염분도가 나타난다. 그리고 전체 해양에서 일어난 증발량은 대략 1년에 126m이다.
증발량을 측정하는 측정기. 안지름 20cm, 깊이 10cm의 동반(銅盤)에 물을 넣고 이 물이 24시간에 얼마만큼 감소되었는가를 조사하여 감소량을 증발량으로 한다.
해수를 가열하여 감압실 내로 유도하고 이것을 증발시킨 후, 발생한 수증기를 응축하여 담수를 얻는 방법.
작물로부터의 증산(蒸散)과 경지면으로부터의 증발을 합친 것. total evaporation
해수가 증발하여 생긴 대규모 염분의 퇴적층이다. 해수 증발로 생성되는 화합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방해석 돌로마이트 경석고 암염 칼륨염 간수염의 순서로 침전된다.
뼈대의 붕괴 하중을 구할 때 가력(加力)을 증대시키면서 뼈대의 참 붕괴형으로 접근시켜 가는 수법.
입력 신호의 정보를 유지하면서 출력비를 크게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미소한 전기 신호를 필요한 크기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기. 음성 전류, 방송 전파 신호의 증폭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