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하(載荷)에 의해 즉시 발행하는 침하. 하중이 작을 때는 탄성 침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압밀 침하와는 달리 시간에 관계없다.
재하(載荷) 직후에 생기는 침하량을 말한다.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대하는 압밀 침하 등과 구별하여 사용한다. 사질토 등에서도 시공 중에 문제로 되고 있다. promptly setting, instantly setting, spot setting
반죽이 매우 된 콘크리트에 강력한 진동다짐이나 압력 등을 가하여 성형시킨 후 즉시 거푸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떼어내는 것
신축 이음의 일종으로, 지간(支間) 20m 이상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노면상의 주행성을 잘 보호하면서 온도 변화 등에 의한 교체(橋體)의 교축(橋軸) 방향 변형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빗 모양을 이루는 양쪽의 두꺼운 판이 서로 물고 있는 구조의 이음이다.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이음 자체는 내구력이 있는 반면, 배면(背面)의 상판(床版), 포장(鋪裝)에 손상이 생기기 쉽고 반복 하중이 빈번한 경우 특히 심하다. 이로 인해 노면상의 차량이 주행성이 나빠질 염려가 있다. 핑거 조인트 라고도 한다. - expansion joint
배합강도를 정하는 경우 품질의 변동을 고려하여 설계기준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곱하는 계수
고압 증기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움직여 그 왕복 운동을 크랭크 기구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바꾸는 기관.
증기 기관을 동력원으로 하는 기중기.
증기 기관을 동력으로 하는 셔블로, 현재는 디젤 기관을 동력으로 하는 것을 사용한다.
증기를 방출하는 양생실에 콘크리트를 넣고 양생하는 것. 조기(早期) 강도가 크고 수축이 적지만 장기(長期) 강도의 저하, 양생 온도 등의 문제점이 있다. 프리캐스트 제품의 양생에 이용된다.
콘크리트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常壓의 증기로 실시하는 양생을 증기양생이라 한다. 이밖에 고온가압양생과 오우트 크레이프양생 등의 방법도 있는데 병용해서 촉진양생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