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45/1604)

정정(靜定) 또는 부정정의 구조물에 많은 힘이 동시에 작용할 때 그것이 미치는 영향, 예를 들면 휨 모멘트, 전단력, 축방향력, 휨, 휨각 등은 모두 개개의 힘에 의한 영향의 총합과 같고, 부하의 순서에도 관계가 없다는 원리. 구조물이 미소 변형을 대상으로 한 탄성체인 경우에 한해 성립한다(단, 축방향력을 수반하는 휨의 경우 등 약간의 예외가 있다).
세계 주요 컨테이너 항로에 위치하고 있는 대형 항만으로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기항한다.
하청이 여러 차례에 걸치는 것. 건설 생산의 특색의 하나이다.
해양에서 상층수와 심층수 사이에 존재하며, 상층수보다 저온이고 대부분 저염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깊이는 수백 m이며, 일반적으로 염분의 연직분포에서 그 값이 가장 낮은 극소층을 이룸으로써 식별된다.
해양생물의 서식환경에 따라 수심대별로 구분 시 사용되는 용어로서, 수심 2백~2천m의 수층 해역이다. 중층원양대는 일차생산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곳에 사는 생물들은 주로 표층에서 침강하는 유기물에 먹이를 의존한다. 많은 동물플랑크톤과 소형어류는 표층으로 먹이를 찾아 야간에 상승하고, 주간에 침강하는 주야수직이동을 한다. 이 층은 수심에 따른 온도변화는 크지만, 염분변화는 크지 않다. 그리고 용존산소량은 다른 층에 비하여 매우 낮다.
Na2Cr2O7로 나타내는 화합물인데 리그닌(lignin) 산염과 이것을 혼합하면 겔화 반응을 일으키는데서 리그닌계주입제의 경화제로서 이용된다. 의약품외 독극물로서 크롬이 6가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환경오염에 미칠 우려가 있다.
지진의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정도의 파손을 말한다.
퇴적물입자 사이의 공간에서 살고 있는 약 0.1~1mm 크기 사이의 저서생물이다. 저서성 요각류, 선충류, 갯지렁이류, 일부 섬모충류가 이에 속한다.
0.2~20mm 사이의 플랑크톤이다.
구조물에 의한 기초의 침하는, [1] 흙의 체적 변화를 동반하지 않고 변형(전단 변형)에 의한 침하와, [2] 체적 변화를 동반하는 침하(압밀 침하)로 나누어진다. 전단 변형에 의한 침하는, 지표부의 국부 재하(유한 폭 또는 유한 면적상의 재하)시에, 지반 내부 응력의 다차원성에 의해 생기는, 체적 변화를 동반하지 않는 형상 변화에 근거한 것으로, 재하 직후의 즉시 침하와 지속 침하(측방 유동)의 두 가지 침하로 나뉜다. 즉시 침하 Si는, SpB(1-v)2/E} . Ip 여기서, p : 하중 강도, B : 기초폭, Ip : 침하에 대한 영향값, : 포아송비, E : 흙의 탄성 계수로 표시된다. 즉시 침하는 재하와 동시에 일어나며, 탄성적 부분(가역적)과 소성적 부분(비가역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점성토의 경우는 상기식으로 계산 가능하지만, 모래의 경우는 Si와 동시에 체적 변화에 동반되는 압축 침하가 생겨 간단하지가 않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