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식 계안선은 주로 그 무게에 의해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의 것이다. 케이션(caisson)식, L형 블록식, 셀루러 블록식, 덩이 블록식 등이 있다. 여기에 작용하는 외력은 위에 싣는 하중, 벽체의 무게, 토압 및 잔유 수압, 부력, 지진력, 선박 충격력 등이다. 이에 대한 안정된 계산은 1) 벽체의 滑動, 2) 벽체의 전도, 3) 기초의 지지력, 4) 미끄럼, 침하 등을 평상시나 지진시에 대해서 검토한다.
관측된 중력에서 표준중력을 뺀 값을 말한다. 중력이상이 생기는 이유는 관측점이 지오이드상에 위치하지 않고 관측점의 지형이 고저기복이 있고 관측점의 수준면과 지오이드면 사이에 물질이 놓여있고 관측점의 지하물질 밀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중력이상의 값이 (+)일 경우 지하에 밀도가 큰 철광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일 경우 밀도가 작은 암염광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석유가 매장되어 있는 지역도 중력이상이 (-)값을 나타낸다.
지구상에서 중력이 미치는 공간을 중력장이라 한다.
해면에서 지구의 중력이 주요 복원력인 파를 말한다. 파장이 1.73cm이상이고 주지가 1초에서 5분 사이인 파도에는 주로 중력이 작용한다. 파형은 뾰족한 마루와 편평한 골 모양이다. 파에 대한 복원력으로는 물의 표면장력, 중력, 코리올리의 힘을 생각할 수 있다. 중력파는 수명이 길지만, 파장이 작아지면 표면장력파로 다시 되돌려진다. 우리들이 보는 파도는 대부분 중력파이다.
상부 구조 높이의 중간 부분에 통로가 있는 다리. - midheight-deck bridge
보나 평판이 휨을 받으면 어떤 면을 경계로 하여 그 평면과 평행한 섬유는 한쪽에서는 늘어나고 다른 쪽에서는 줄어든다. 그래서 중간에는 신축이 없는 면이 생기는데 이 면을 말한다. 중립면에서는 휨 응력이 0이며, 단순보의 경우 위로부터 연직 하중을 받으면 중립면보다 위쪽은 줄어들고 아래쪽은 늘어난다. neutral surface
중립면을 재축(材軸)에 대하여 직각인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 나타내어지는 축. 이 선상에서는 수직 응력도는 0이다.
철근 콘크리트의 휨재 압축측 가장자리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xn과 단면의 유효 높이 d와의 비를 말한다. - neutral axis, effective depth
터널 굴착면의 하나로, 중앙 부분의 것. [1] 정설 도갱(頂設導坑) 또는 정설, [2] 환형(丸刑), [3] 중배(中背), [4] 대배(大背) 또는 저설 도갱(底設導坑), [5] 토평(土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