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131/1604)

준설에 사용하는 펌프. 일반적으로 와권(渦卷) 펌프가 사용된다.
준설이란 해저나 하천 밑을 파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선로나 선박지 등의 신설 또는 개량 등에 대한 구조물의 바닥파기나 매립을 말한다. 준설선의 펌프선, 저양정펌프선, 드래그 색선선, 그랩선, 바께쓰선, 디퍼선 등이 있다. 시공방식의 채택은 지반의 토질이나 준설정도, 양, 구역의 범위, 기상, 운반 거리를 비교해서 결정한다. 특히 토사장의 선정이 준설공사에 큰 영향을 준다.
공사중에서 문제가 되는 관리항목은 선박지의 보전과 안전대책, 오염방지 및 작업위치와 깊이의 확인 또는 공정에 대한 확인이다. 선로나 선박지의 보전은 관할 관청과 사전에 충분히 협의해서 금지 구역에 설정이나 작업시간의 한정과 소정의 표식 등을 철저히 주지시킨다. 안전대책, 오염방지는 이상이 있을 때의 대피장소, 굴착할 때, 흙을 버릴 때의 오염방지를 고려해야 하고 위치의 확인은 6분의 또는 전파측위기를 사용한다.
하천, 항만 등의 물 밑의 토사를 굴착하는 작업선. 펌프선, 디퍼선, 그래브선, 버킷선 등이 있으며, 각각 수심, 토질, 토사를 버리는 곳이나 굴착한 토사의 이용 방식에 따라 기종을 선정해야 한다. 준설선의 원동기는 디젤 엔진을 직접 구동식, 디젤 엔진의 발전에 의한 모터 구동식 및 가스 터빈 구동식 등이 있다. 또한 준설선에는 자항식(自航式)과 비항식(非航式)이 있으나 비항식은 태그 보트로 끌어 장거리 이동을 하는 형식이다.
bucket dredger
일반적으로 물밑의 자연상태에 있을 지반의 용적 즉 산지의 토량을 말한다. 준설선의 시공량 Q는 Qq0×h×d(q0 : 1시간당의 시공량 q0는 q0q×P×E×η/1000(q : 전동환산 1000ps에 대한 1시간당의 준설량(㎥/h), p : 펌프선의 전동 환산마력(ps), E : 현장 작업효율, 대개는 1.02∼1.44, η : 사실 작업률 0.85∼0.95) 펌프선의 시공능력을 준설하는 토량이나, 보내는 거리에 따라 변화해서 그 공칭능력을 상하하는 범위가 넓다. 계산식의 예는 다수열의 평균이다. 예를 들면 보내는 거리의 합계를 넘을 때, 보내는 거리는 짧으나 깊이가 깊을 경우, 흙 두께가 특히 얕은 경우, 중계펌프를 사용할 경우는 평균능력보다 작업능력은 줄어든다.
strip foundation
[1] 길게 연속된 기초를 말한다. 재료는 철근 콘크리트, 무근 콘크리트, 마름돌, 콘크리트 블록 등. [2] 건축물의 벽체 또는 기둥의 하중을 지지하는 연속한 기초를 말한다.
직접 기초의 하나. 주열(柱列) 또는 벽밑을 따른 가늘고 긴 연속 푸팅 기초.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에 있어서 이음의 간격을 말하는데(간격이 넓어지면 콘크리트의 건조와 수축 등으로 균열이 일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타설에는 적당한 줄눈 간격이 필요하다.) 줄눈의 종류와 간격은 신축줄눈은 50m정도, 수축줄눈은 5∼10m정도, 세로 줄눈은 5m정도이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