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철을 고철 등을 가해 용선로에서 다시 제조한 것. 이것에는 급격히 냉각했을 때 생기는 백주철과 냉각 속도를 느리게 했을 때 생기는 회주철이 있다. 이들은 주형에 주입하여 주물로 만들어 사용하며, 교량의 경우에는 베어링 슈(bearing shoe)나 배수공(catchbasin), 신축 이음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주철의 조직은 지철, 흑연, 화학탄소의 세가지로 이루어진다. 1920년대까지는 보통주철이 이용되었으나 그 후로는 고급주철화되어 강도만은 크지만 신장도는 여전히 적고 충격에 약한 단점(무르다.)이 있다.
수도 배수관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고급 주철관, 덕타일 주철관 등이 있으며, 인장 강도는 25 ~ 45kgf/mm2이다. 부식하지 않도록 정제(精製) 타르를 가열 인쇄 도장한다거나 모르타르를 관 내면에 원심력으로 부착시키는 모르타르 라이닝 도장 등을 실시한다. 이음에는 소켓형, 플랜지형, 메커니컬 조인트 등이 있다.
설계하중에 의하연 전면적이 정해지는 철근을 주철근이라 한다.
단면의 도심(圖心)을 통하는 임의의 직각 좌표 중 1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최대이고, 다른 축에 관한 단면 2차 모멘트가 최소인 1조의 직각 좌표를 말한다. 단면 주축에 관한 단면 상승 모멘트는 0이다.
공업 도시 등에 대해서 말한다. 대부분은 대도시 주변에 입지하고, 중심 도시로의 통근 인구의 주택에 의해 구성되는 도시로, 위성 도시와 같이 공업을 갖지 않는다.
주택에 적합한 자연 조건이나 사회 조건을 고려하여 토지를 정하는 것.
도시 계획에서 주택지의 구성 요소인 주택과 그 주민의 일상 생활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시설, 교통. 환경 등의 각종 관련 시설을 유기적으로 계획하는 것.
주택의 종류, 밀도, 주환경의 질 등의 물적 특성, 거주자의 연령 구성, 직업 등의 사회적 특성 등에 의해 형성되는 주택지의 성격을 말한다.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1) 주기적 현상이 매초 반복되는 횟수, 즉 1초간의 진동 횟수. 단위는 헤르츠(hertz), 기호는 Hz. 주기의 역수이다. (2) return period, recurrence inter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