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을 두렁으로 구획하고 급수로를 구획의 짧은 변에 인접하게 하여 전면적으로 관개하는 방법.
어스 오거식, 오거 케이슨식, 로터리 비트식, 퍼커션 비트식 또는 해머 크래브식 등의 천공기에 의해 땅 속에 구멍을 파고 인발 후의 공극에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소일 시멘트 등을 충전한 후, 다시 필요에 따라 철근이나 철골 또는 PC말뚝 등을 세워 축조한 현장 타설 말뚝을 연속적으로 나란히 시공함으로써 일종의 지하 연속벽을 만드는 공법이다. 주열 공법은 소위 벽 모양의 지하 연속벽 공법과 비교할 때, 특히 지수성(止水性)이 떨어지지만 얕게 뿌리를 잘라 흙막이 지수벽에 적용하는 경우는 경제적이다.
플랫 슬래브에서 설계 계산에 있어 기둥 수직상에 유한폭의 스트립을 가상하고, 기둥을 포함하지 않는 주간대(柱間帶) 부분과 구별하여 응력 계산을 하는 부분.
지하 연속벽 공법의 한 종류인데 직경이 40∼80cm 정도의 장소 박기 콘크리트 말뚝에 의해서 지중에 기둥을 줄지어 놓은 모양의 연속 벽체를 구축하여 흙막이 벽이나 지수벽으로서 굴착한다.
특히 중요한 관리점.
공정계획에 잇어서 공기의 중간에 전체의 진척상황을 체크하는 중요한 포인트를 설치하여 진도에 대한 관리를 원활하게 추진하는 것을 말한다. 중간검사, 공구의 일부완성, 기초부분의 완성 등은 주요한 관리점이 된다.
초기 미동에 이어서 일어나는 지진동 중 가장 진폭이 큰 부분. 근지 지진에서는 횡파, 원지 지진에서는 표면파에 의한다.
[1] 단면 주축의 방향에 생기는 수직 응력. 즉 주응력도면에 직각으로 생기는 응력. 주응력도와 그것이 작용하는 면적과의 곱으로 나타내어진다. [2] 주응력도를 약해서 주응력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