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하천, 호소 등의 밑바닥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 퇴적물과 암반으로 대별된다. sediments, deposits
해저 구성물질의 채취와 저질분류표에 의한 이들 시료의 판별을 통해 지질의 종별을 조사하는 작업을 말한다.
해저에 가라앉아 있는 고밀도의 수괴를 말한다. 대양에서는 보통 수심 4천m 이상의 물을 지칭하는데, 심층수와 저층수의 명확한 구별은 불분명하다. 남극해와 북극해에서는 수온이 0~2℃, 염분은 34.75‰ 내외이다. 극지방이 저층수의 기원이며, 그곳에서 찬물이 대류에 의해 가라앉는다.
해저의 퇴적물이 한꺼번에 사면을 따라 미끄러질 때 생기는 흐름을 말한다. 퇴적물을 많이 함유한 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게 되어 사면을 따라 하부로 흐른다. 퇴적물은 지진이나 폭풍해파 또는 퇴적물의 겹침과 같은 이유로 부유작용이 생기고, 퇴적물을 많이 함유한 물은 중력에 의하여 아주 빠르고 짧은 시간에 사면을 따라 하부로 흐른다. 저탁류는 대륙사면에서 중요한 운반 및 퇴적요인이다. 저탁류에 의해서 퇴적된 퇴적층은 터어비다이트라 하고, 이 흐름이 끝나는 대륙대에서 주요 퇴적층이 된다.
고밀도와 빠른 속도를 가진 저탁류에 의해 운반 퇴적된 퇴적층을 말한다.
탄소의 함유량이 0.3%보다 적은 강. 종류로는 반연강. 연강. 극연강. 특별 극연강 등이 있으며, 토목 재료로 이용되는 철골. 철근. 형강 등은 이것에 속한다.
구조용 강의 연성(延性)을 그대로 지속하고 또한 재료의 절약을 겸하여 재료 강도를 높이며 높은 허용 응력을 얻도록 만든 강재로, 탄소강에 니켈, 몰리브덴, 망간, 규소, 크롬, 바나듐, 동, 알루미늄 등의 요소를 첨가한 것. 그 주요 첨가 요소로부터 니켈강, 망간강, 규소강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인장 강도 60 ~ 100kgf/mm2급의 용접성을 고려한 고장력 저합금강이 제조. 시판되고 있으며, 또한 부식이라고 하는 최대의 결점을 개량한 내후성 강도 개발되어 있다.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작용. 단위 Ω. 1Ω 1V 의 전압을 가했을 때 1A의 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저항. [도체의 형과 저향] 저항 R는 길이 ℓ에 비례하며, 단면적 S에 반비례 한다. R ρ×(ℓ/S) 여기서, ρ : 저항률. 저항률은 도체 1m3의 입방체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는 면 A, B간의 저항이다.
안지름 d 인 관내에서 길이 ℓ사이의 손실 수두 h1 은 h1 f(ℓ/d×v/2g) (v : 평균 유속, g : 중력 가속도) 로 나타내며, f 는 레이놀즈수와 관계된다. 이 f 는 관의 마찰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소모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이며, 저항 계수라 한다. 저항 계수는 레이놀즈수가 작은 층류의 범위에서는 레이놀즈수에 반비례하고, 레이놀즈수가 클 때에는 관의 거칠기에 따라 서로 다른 일정값이 된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물체에 미치는 힘을 무차원화한 값.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 성분에 따라 항력 계수, 양력 계수 등이라 불린다. 또, 관로를 흐르는 경우에는 압력 손실 계수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resistance coeffic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