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1035/1604)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에 구멍을 뚫는 드릴.
피로 현상 중 하중의 반복 횟수가 10 ~ 104회 정도 이하의 피로 현상.
저기압이란 둘레보다 기압이 낮은 구역을 말한다. 열대에 발생하는 것을 열대성 저기압이라 하고 열대 이외에 발생하는 저기압을 온대성 저기압 또는 단순히 저기압이라 한다.
고기압에 대비되는 용어로서, 높이가 같은 면에서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은 곳을 말한다. 온도 또는 수증기의 증강에 따라 생기는 현상으로 중심을 향하여 북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 남반구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소용돌이치면서 등압선을 그린다. 저기압의 중심부근에서는 대기가 상승하며, 단열냉각 되어 구름을 만들고 비를 내린다. 저기압은 발생지에 따라 그 성질이 다르다. 열대에서 발생하는 것을 열대성 저기압, 온대에서 발생하는 것을 온대성저기압이라 한다.
나사와 톱니바퀴를 조합하여 중량물을 상하 이동시키는 잭(지렛대의 원리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도구)을 말하며, 나사 잭이라고도 한다. 바닥에 볼 베어링을 장치하여 베벨 기어와 맞물리게 하여 나사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핸들의 조작은 피니언 기어에 붙어 있는 래칫 박스에 소정의 철 핸들을 꽂아 래칫의 교체로 승강시킨다. 내하력은 15 ~ 50t, 양정은 125 ~ 350mm로, 다른 잭에 비해 경량(12 ~ 47kg)이다. 잭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들어 올리는 클로가 붙은 잭, 하중을 받은 상태 그대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 이송대가 붙은 잭도 있다. 유압 잭처럼 급유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고열 지대, 한랭 지방 어느 쪽을 불문하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대수층의 단위 표면적당, 단위 수두당의 저류수의 용량. 혹은 지하 수위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자유 수면 부근의 흙의 저류수의 변화량 storage coefficient, storativity
구조물이나 물체 바닥 부분을 절단하여 위에서 보고 그린 도면. 특별히 필요한 경우에 그린다.
목재를 저류하기 위한 장소. 항만에서는 하물 취급 관계상 수면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수면에는 목재를 끌어 올리는 호안과 육지가 필요하다. 목재의 충해(蟲害)를 막기 위해 담수가 유입되는 곳이 바람직하다.
목재를 보관하는 수면 및 외부 시설. 담수(淡水) 저목장과 해수 저목장이 있다. 또한 목재의 유출 방지를 위해 파제제(波除堤), 방지 울타리 등의 시설이 만들어진다.
사면의 파괴에 있어서 임계원이 비탈 끝 보다 외측을 통과하는 경우를 말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