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래 일어날 수 있는 재해를 미리 아는 것. 재해를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그 발생 요인, 확대 요인까지도 알 필요가 있다.
해일. 높은 파도. 산사태 등에 의한 재해의 위험이 심한 구역으로서 지방 공공 단체가 지정하는 구역.
재해에 관한 조사. 재해 발생 후에 재해 빌생의 원인, 피해 상황, 피해 규모 등을 파악하여, 재해 방지에 도움이 되기 위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홍수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보면 몇 년에 한 번밖에 일어날 것 같지 않은 규모의 홍수라고 하는 확률적인 취급 방법에서 이 "몇 년"이라고 하는 기간을 일반적으로 재현 기간이라 하며 확률년이라고도 한다. recurrence interval, frequency
어느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풍 속의 극치. 구조 설계를 할 때 사용한다.
(선박법 제3조) 항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선박의 여객 및 화물 등의 최대적재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지표를 마한다. 선박의 크기를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으로 나타낸 톤수이다.
비중 1.025의 수면에서 선박이 사람이나 화물을 기준흘수선에 달할 때까지 적재한 때의 배수량인 만재배수량과 사람이나 화물을 적재하지 아니한 배수량인 경하배수량의 차이를 환산하여 톤수를 산정한다. 선박항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선박의 여객 및 화물 등의 최대 적재량을 표시하는 기준 역할을 한다.
중량물을 들어 올린다든지, 물체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 유압. 수압을 이용하는 것, 나사. 지레. 톱니바퀴를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틀비계의 근원에 세트하는 높이 조깅을 할 수 있는 받침. 지반이 고르지 않는 경우에 사용한다. base jack
착암공이 손에 잡고 조작하는 경량 소형의 착암기. 하향으로 구멍을 파는 것을 싱커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