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도 부근에서 남동무역풍에 의해 에크만수송이 일어나 표층수를 발산시키므로 아래로부터 찬물이 올라오게 되는데, 이를 족도용승이라 한다.
적도의 표층에는 동에서 서로 흐르는 표층류가 있지만, 적도의 해면아래 수심 50~100m에서 두께가 200m, 폭이 300m이면서 서에서 동으로 2~3knot의 속도로 흐르는 표면하 해류가 있는데 이 해류를 적도잠류라 한다. 이 해류는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크롬웰해류라고도 한다.
15일마다 달의 적위가 최소일 때 즉, 달이 적도 위에 있을 때 일어나는 조석을 말한다. 이 때 일조부등이 가장 적다. 봄과 가을은 삭과 망일 때 달이 적도 부근에 오며, 여름과 겨울은 상현과 하현일 때 달이 적도 부근에 온다.
적도 부근에서 동에서 서로 흐르는 해류를 말한다. 북위 8~23°부근에서 볼 수 있는 북적도해류와, 남위 20°~북위 3°부근까지에 있는 남적도해류로 나누어진다. 각각 북동무역풍과 남동무역풍에 의해서 형성되는 해류이다. 이 해류는 0.5~2knot의 속도로 흐른다. 남적도해류와 북적도해류는 쌍을 이루고 있으나 양자는 적도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인 위치에 놓여 있는 것은 아니다. 이는 무역풍대의 비대칭성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들 해류는 북위 약 5°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적도반류에 의하여 나누어진다. 또한 적도해류의 표층류 아래에는 동쪽으로 흐르는 큰 적도잠류가 존재한다. 남적도해류가 약할 때는 이 잠류는 2~3knot의 속도로 발리 움직이므로 표면까지 올라온다.
산허리 공사의 녹화에 쓰인다. 주로 강우량이 적은 지대에 적용되는데 산허리의 비탈진 곳에 계단을 지어 잔디로 바리떼를 만드는 공법이다. 전달하는 떼의 매수에 따라 3매, 4매, 5매의 적묘공이 있다.
공사에 소요되는 재료, 노무의 수량, 단가, 품의 수량 등을 계산하는 것.
설계도에 따라서 공사에 요하는 모든 비용을 추정 산출하는 것을 말한다.
적산을 표준적으로 하기 위한 기준.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estimation stand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