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생물을 생태학적으로 나눈 경우에, 수동적으로 떠다니거나 약하게 유영하는 생물체인 부유생물과 수저에 서식하는 생물인 저서생물에 대비되는 용어이다. 유영동물은 자신의 유영능력이 강하여 해류의 방향과는 무관하게 이동할 수 있는 동물을 칭한다.
유영동물은 대부분이 어류이며, 오징어류, 해양포유류(고래, 물개)등이 이에 속한다. 유영능력은 대체로 몸의 크기에 좌우되므로 유영동물은 대부분 크다. 유영동물의 분포에 중요한 요인은 수온, 염분, 산소량, 영양염 등이며, 그 중에서 수온이 주된 요인이다. 유영동물은 유영능력이 있기 때문에 먹이가 풍부한 해역에 서식하며 해류를 거슬러 움직이기도 하면서 이곳저곳으로 이동하여 적합한 환경을 찾아간다.
유영동물 중에서 바닥에 붙어서 사는 생물을 말한다. 도치가 그 예이다.
대중의 오락이나 야외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시설과 설비를 갖춘 원지(園地)
위락을 위해 여러 종류의 오락 시설을 갖춘 녹지. 공원이나 아동 공원과 달리 하나의 기업으로서 경영된다.
파군 중 파고가 큰 순서로부터 전체 파랑수의 1/3까지 골라 파고 및 주기를 평균한 파를 말하며, 항만구조물 설계에 적용하는 파랑이다. 여기에서 유의파의 파고평균을 유의파고라 하며, 주기평균을 유의파주기라 한다.
파고계에 의한 10분간 내지 20분간의 연속 파형 기록을 이퉷하여 그 중에서 가장 큰 파고를 보여주는 파부터 세어서 전체 파의 수의 1/3을 파고의 순으로 세었을 때, 파의 평균 파고 또는 평균 주기를 가진 파. 이것은 단순히 편의적인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유의파 주기의 기시가 파의 에너지 밀도가 가장 크며, 현상적(現象的)인 면에서도 해면의 파의 성질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그 밖에 평균파, 최대파, 1/10최대파
- time of concentration, reaching time
롤러 전압(轉壓)을 하지 않고, 유동성을 이용하여 유입함으로서 표면 마감을 하는 공법. 한랭지 포장. 교면(嬌面) 포장. 재래 포장의 수리 등에 이용된다.
저수지나 하천 구간 등에 상류에서 흘러 들어오는 유량.
하천의 자연 유량을 그대로 사용하는 발전소. 상류에 저수지 또는 조정지를 갖지 않은 경우, 발전력은 하천 유량에 좌우된다. 즉, 사용 수량 이상의 물은 취수 둑으로부터 월류수로 되어 무효 방류되며, 갈수시에는 발전소 용량에 미달되는 발전력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요즘 개발되는 발전소에는 이 형식의 것이 많다. 자연식 발전소라고도 한다. - hydro electric power station wity reservoir, generating 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