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936/1604)

유압을 구동원으로 하는 해머를 사용한 말뚝 타입(打入) 기계.
유압 가력 기구를 사용하는 말뚝 박는 기계.
어업을 직업으로 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상대적인 말로 어업과 관계없이 취미로 하는 것을 말한다. (수산업법 제2조) 유어라 함은 낚시 등을 이용하여 놀이를 목적으로 수산동식물을 포획·채취하는 행위를 말한다.
제3차 유엔해양법회의 결과, 1982년 4월 30일 유엔에서 채택(1982년 12월 10일 체결)되어 1994년 11월 16일 발효된 해양법에 관한 조약 명칭으로서 전문 320조와 9조의 부칙으로 되어 있는 바다의 이용에 관한 국제법이다. 우리나라는 1983년 3월 14일 서명을 하고, 1995년 12월 1일 국회동의를 받았으며, 1996년 1월 29일 비준서를 기탁했으며 1996년 2월 28일 발효(조약 제 1328호) 되었다. 유엔해양법협약의 주요내용은 영해의 폭을 최대 12해리로 확대 200해리 배타적경제수역제도를 신설 심해저 부존광물자원을 인류의 공동유산으로 정의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국가의 권리와 의무를 명문화 연안국의 관할수역에서 해양과학조사시의 허가 등을 규정 국제해양법재판소의 설치 등 해양관련 분쟁 해결의 제도화 등이다.
분수계(分水界)를 경계로 하여 어떤 하천에 빗물이 유입하는 전역.
하천의 형상.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이용되는 계수. 홍수의 크기. 시간을 알아내는 기준이 된다.
하천의 어떤 지점을 가정할 때, 빗물이 전부 그곳에 모이는 구역을 말하며, 집수 면적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km2의 단위로 표시한다. 하천 계획, 발전 계획 등에 이용된다.
수력 발전소의 낙차를 얻는 방법으로 A, B의 두 하천이 근접하여 흐르고 있을 때, A 하천이 B 하천보다 현저히 높은 곳에 있는 경우, A하천의 물을 수로에 의해 B하천으로 유도하고 그 사이의 낙차를 이용하는 수가 있다. 이것을 유역 변경이라 한다. 이 경우 하류의 용수, 발전 등의 이수사업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만 한다.
동일 하천 유역 내의 인접하는 지방 자치체가 협력하여 하수 처리를 도모하도록 설치되는 공공 하수도.
강수(降水)지가 하천을 형성하는 범위, 및 거기에 전개되는 사회 활동의 범위. 유역은 분수계에 의해 둘러싸인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