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군집에서 그 군집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고, 그 군집을 대표하는 종류를 우점종이라 한다. 우점종은 그곳의 환경조건에 잘 적응한 것이며, 일반적으로 생산량이나 현존량이 최대이다. 우점종은 환경의 기후나 토양조건을 변화시켜 군집에 영향을 끼친다.
우주로부터 우주진이 대기권을 통과할 때 붕괴된 결과에 의해 생긴 금속 및 균산염을 함유한 퇴적물을 말한다. 심해퇴적물은 적은 양의 우주기원퇴적물을 함유한다.
운동 경기 시설을 갖춘 공원.
질량 m의 질점에 힘 F가 작용하여 가속도 α가 생길 때 성립하는 관계식 Fmα를 말한다.
힘과 운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정식. 질량 m의 질점이 시간 dt사이에 힘 F를 받아 그 속도가 dv만큼 달라졌을 때의 관계식 Fdt mdv를 말한다.
역적 즉, 작용한 힘과 작용하고 있는 시간 길이를 곱한 것은 운동 물체의 그 동안의 운동량 변화와 같다. 관 속에 시간적으로 불변인 흐름이 있다고 할 때, 질량 M의 물이 관으로부터 받는 힘 P가 Δt시간 계속되는 동안에 유체 부분의 속도가 Δv만큼 변화하면 P×ΔtMΔv이다. 단면적 A인 수평관이 900 구부러져 있을 때 유체가 받는 힘은 마찰을 고려하면 압력은 수평이기 때문에 동일 크기로서 서로 상쇄되고 벽으로부터의 반력뿐이다
물체가 운동하고 있을 때 갖는 에너지. 어느 질점이 갖는 운동의 에너지는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지다. Kmv2 / 2 여기서, m : 질량, v : 운동속도
운동하는 물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물체의 질량 m, 속도 v일 때에는 그 에너지는 (1/2)mv2로 나타낸다. 운동의 에너지의 증가는 외력에 의해 행하여진 일과 같다.
메커니즘의 변형을 생각할 때 독립으로 설정할 수 있는 변위의 수.
골조의 소성 해석에서 골조가 붕괴하는 데 필요한 수만큼 항복 힌지가 발생하여 골조가 운동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운동적 허용 상태 또는 변형 적합 상태에 도달했다고 한다. 간단하게는 붕괴 메커니즘에 도달했다고도 한다. 어떤 외력 분포 {pi}를 가정하고, 그 mk배로 메커니즘에 도달했을 때 mk를 운동적 허용 배수(변형 적합 승수)라 한다. 골조의 붕괴 메커니즘이 여럿 있는 경우 mk{pi}의 최소값이 붕괴 하중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