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에 내리는 물 (싸라기눈, 우박, 눈 등도 포함) 의 양을 총칭한다. 어느 지점에서 어느 시간 내에 내린 우량은 심도 mm로 나타낸다. 강우량은 우량계로 측정한다 [우량의 강도 및 계속 시간은 자기 (自記) 우량계에 의한다].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구. 수수기(受水器)와 계측기로 이루어진다.
우레탄 수지가 반응하여 겔화 한 것을 이용하는 주입재이다. 주제는 디소시어너드화합물과 폴리올의 프레 포옴인데 이것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지반에 주입하거나 지하수와 반응시켜 겔을 만든다.
크가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평행한 두 힘. couple of forces
일직선상이 아니고 크기가 같으며, 방향이 서로 평행으로 반대인 두 힘을 우력이라 한다. 우력은 두 힘의 작용하는 평면으로 수직인 축 둘레에 회전시키는 작용을 한다. 두 힘의 작용선 사이의 거리 a (우력의 팔의 길이)와 각 힘의 크기 F의 곱 aF를 우력의 모멘트라 한다. couple
우력에 의하여 임의의 점에 작용하는 일정한 모멘트를 말한다. 그 크기는 우력의 크기와 우력간의 거리와의 곱이 된다.
함수층이나 대수층(帶水層)에 포함된 지하수를 퍼올리는 장치.
철근 콘크리트 등의 천정과 밑이 없고 속이 빈 관체를 지상에 설치하여 내부에 흙을 굴착한 다음 관체를 침하시켜 소정의 지지층에 도달하면 부분에 수중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중간을 채우고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시키는 기초 구조물이다.
양수 우물을 써서 지하 수위를 저하시키는 경우 장시간 양수하여 우물 수위가 일정하게 된 정상 상태의 관계식과 우물 수위가 양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정상 상태의 관계식이 있다. 우물 함수는 비정상 상태의 해석에 사용하는 아래 식의 W(u)를 말한다.
철근 콘크리트제의 우물통을 침설(沈設)하여 기초(지정)로 하는 공법. 우물통 내의 흙을 클램 셸(clam shell)로 파내고, 우물통은 순차 이어서 침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