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902/1604)

비드 필릿 용접 및 맞대기 용접의 연장방향을 나타내는 선을 말한다.
모재를 어떤 용접법으로 용접할 때 만족한 접합이 얻어지는지 어떤지, 또 그 용접 이음이 구조물의 사용 목적을 만족하는지 어떤지의 정도. 접합성(joinability)과 용접 성능(performance)을 모두 가리킨다.
용접성을 살피기 위한 시험을 총칭하는 것. 모재의 용접성(충격, COD, 새김눈 시험 등), 시공상의 용접성(구속 균열, 경도 등), 사용 성능상의 용접성(이음 강도. 낙중(落重). 폭파. 수압 시험)의 세 가지로 나뉜다.
용접부는 용접열의 영향 등에 의해 일반적으로 모재보다도 새김눈(notch) 인성이 떨어지며, 또한 일부의 균열이 구조물 전체의 파괴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데 특히 새김눈 인성이 큰 용접성이 양호한 재료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용접용 강재라 한다.
강관의 이점을 이음 부분의 강도에 있으므로 용접 기술이 완전하다면 관거의 접합부에서의 절단은 없다. 또 용접공사나 시공조건(우천 풍운 등)이 결과에 대한 양부가 좌우되므로 충분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dissolved oxygen 의 약어. 수중에 녹아든 용존(溶存) 산소량을 말한다. 단위는 ppm. 용존 산소가 부족하면 어패류(魚貝類)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일이 있다.
수중에 용해하고 있는 산소. 물 1리터에 용해하고 있는 산소의 mg수로 나타낸다.
용존산소량은 보통 물 1ℓ중의 산소량을 부피(ml)또는 무게(mg)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온도·염분이 낮을수록, 기압이 높을수록 용존산소량은 많아진다. 물 속에는 상당량의 산소가 용해되어 있는데, 맑은 강물에는 보통 7~10ppm정도 포함되어 있다. 대기로부터의 유입·광합성에 의한 생산·생물의 호흡에 의한 소비 등으로 용존산소량이 주로 변한다.
토지의 수용 또는 사용에 대하여 지불되는 보상.
용액의 한 성분으로 다른 성분(용매)중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을 말한다. 가령, 설탕물에서 녹은 설탕은 용질이라 하며, 설탕을 녹이는 물은 용매, 설탕물은 용액이 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