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경간 이상에 연속해 있는 슬래브를 말한다. 연속판의 휨 모멘트의 계산은 하중의 분포나 판의 연속성을 고려해야만 하는데, 도로교에서는 시방서에 간단한 근사 계산식이 나와 있다.
(1)하나의 반응이 계기가 되어 외부로부터의 에너지의 공급없이 되풀이하여 진행되는 반응 ,원자로안이 핵분열 따위(2)하나의 사건이 계기가 되어 연달아 같은 종류의 사건이 유발되는 일
경수를 처리하여 연수로 만드는 방법. 일반적으로 물 속의 탄산 칼슘이 100ppm 이하일 때를 연수라 한다.
한 가닥의 기다란 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가지줄을 달고, 그 끝에 낚시를 단 어구를 사용하여 대상물을 낚는 어업으로서, 주요 대상어종은 장어·복어·도미·볼락·가자미 등이다.
(연안관리법 제2조) 연안이라 함은 연안해역과 연안육역을 말한다. 연안해역이라 함은 바닷가(만조수위선으로부터 지적공부에 등록된 지역까지 사이)와 만조수위선으로부터 영해의 외측한계까지의 바다를 말한다. 그리고 연악육역이라 함은 무인도서와 연안해역의 육지쪽 경계선으로부터 500m(항만법에 의한 지정항만, 어항법에 의한 제1종 어항 및 제3종 어항 또는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산업단지의 경우에는 1천m) 범위안의 육지지역 (하천법 제2조제1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하천구역을 제외한다)으로서 연안통합관리계획에서 정한 지역을 말한다.
파도와 또는 조류에 의하여 토사, 모래와 자갈, 때로는 나뭇잎 기타 물질이 운반되어 유속이 작은 곳에서 침적된 것. 방파제, 방사제, 돌제 등의 방향 위치가 적당하지 못함으로써 이 침적을 촉진하는 경우가 있다.
바다에 사는 생물을 장소에 따라 생태학적으로 구분할 경우에 쓰이는 용어로서, 고조선과 저조선 사이의 구역을 말한다. 조간대라고도 한다.
지질학에서 연안대란 해빈을 포함하여 퇴적물이 표면파에 의해 수송이 매우 약해지는 물 속 깊이까지를 말한다. 이 깊이는 변하지만 일반적으로 10~20m정도를 고려한다.
해안으로부터 수십km까지의 해역에서 볼 수 있는 해안과 거의 병행하고 비교적 한결같이 흐르는 바닷물의 흐름을 말한다. 해파가 해안에 가까워지면 쇄파에 의해 형성된 예각에 의해 해안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생기며, 속도는 폭풍시에는 2~3㎧에 이르며 쇄파의 높이와 해파의 각도에 연관이 있다.
파도에 의해 생긴 해안선에 따르는 흐름. 파도가 해안에 다가와 부서지면 해안으로 향해 흐름이 생긴다. 만약 파도의 내습 방향이 해안선과 직각이 아닌 어떤 각도를 갖는 경우에는 해안선에 따르는 흐름 즉, 연안류가 생긴다. 연안류는 표사의 이동 상황을 알아내는 하나의 유력한 단서가 되며 그것의 관측에는 오노식 유속계, 표류간(桿), 염료 투입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파도에 의하여 몰려온 모래가 해안선 가까이에서 해안에 평행하게 발달하는 모래나 자갈로 이루어진 퇴적지형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