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청부 계약 등에서 공사 완성 인도 후에 어느 정도의 기간을 두고 대금을 지불하는 계약.
수출대금의 지급을 일정기간 연기해 주는 수출 방식
연동 폐색식의 역간의 궤도 회로 대신 폐색 구간의 양단에 짧은 궤도 회로를 설치하여 역간의 열차 유무를 검지하고 후속열차, 대향 열차의 출발을 제어하는 방식.
도로의 보도 가장자리를 따라 차도와의 경계를 이루는 돌. 콘크리트제의 것도 연석이라 한다. kerb
사암. 응회암 등 강도가 낮은 무른 돌. 10 × 10 × 20cm의 공시체(供試體)로 압축 강도 100kg/cm2 이하의 것이 이에 해당한다. 콘크리트 골재중 연질(軟質)의 자갈을 가리켜서 말하기도 한다.
절개공법 혹은 쉬일드공법에 의해 주변의 지하수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나 또는 약액을 주입할 경우, 시공장소 부근의 우물을 조사해서 물밑의 변동이나 수질의 변동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아스팔트의 연신성(延伸性). 연성이 큰 아스팔트는 골재와의 부착성이나 포장의 신축성 등이 우수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온 신도가 큰 아스팔트일수록 감온성(感溫性)이 많아 저온에서는 급격히 연성이 낮아진다. 신도와 그 온도에 대한 변화는 포장용 아스팔트에 있어서는 중요한 성질이다. 시험은 그림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며, 규정 온도의 물 속에서 일정한 모양의 공시체(供試體)를 매분 5cm의 속도로 인장하여 절단될 때까지 늘어난 길이(cm)를 단위를 붙
아스팔트를 일정 온도의 물 속에 일정 속도로 인장하여 절단할 때까지의 길이를 cm단위로 나타내어, 아스팔트의 연신에 대한 적성을 조사하는 시험.
강재료에 인장력이 걸린 경우, 계속적으로 큰 변형이 진행하여 어떤 면을 따라 크게 미끄러진 것처럼 파괴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파단면은 심한 요철을 가진 파면을 갖데 된다. 이것과 반대되는 것으로서 메짐성 파괴가 있다. 이것은 비교적 변형이 작고, 어떤 단면이 분리된 것처럼 파괴되는 것으로, 파단면도 광택이 있는 결정성 파면이 된다. 이 두가지의 차이는 재료 고유의 물리적 성질 및 외적 조건 즉, 온도, 하중 속도, 변형 속도 등에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