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태 발생의 유인(지표수, 지하수)을 제거하든가 사태 사면의 밸런스를 회복하여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방법. 그 밖에 사태력에 대항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억지공이 있다.
사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방책 중 부족한 전단 저항력을 말뚝공이나 앵커공, 샤프트공 등의 인공의 구조물에 의해 보완하는 방법. 역제공과 병용되는 일이 많다.
주위 지반면보다도 높은 도로나 철도 밑에 설치된 통과가 가능한 반지하도를 말한다.
토공의 흙깎기 작업에 있어서 중력을 이용하기 위해 흙깎기부 하부의 세굴을 선행하는 것으로 너구리굴 파기, 밑둥 파기라고도 한다.
용접시에 모재가 파여져 용착 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으로 되어 있는 부분.
철도 또는 도로와 교차할 때 그 아래를 지하 구조물로 통과하고 있는 도로.
기존 구조물의 기초에 추후 시공하는 영구적인 보강 공사를 말한다. 밑 이음이라고도 한다. 기초의 보강이 필요해지는 경우는 구조물의 증축에 의한 하중 증가나 지하 상황의 변화에 의한 지지력의 저하 외에 그 구조물에 근접하여 또는 바로 밑에 새로운 구조물(예를들면, 지하철)을 만드는 경우 등이다. 현재의 구조물을 임시로 인수하여 그 아래를 일부분씩 시공해 가는 것으로 어려운 공사이다.
석탄, 광석 등과 같이 포장하지 않은 하물을 육양하기 위한 하역 기계. 그래브식, 컨베이어식이 많고 하역 능력 1000t/h 정도가 보통이다. 대형의 것은 2000t/h 에 달하는 것도 있다.
운동계 등에서 질량 또는 편심량 등에 관해 평형이 잡혀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질량.
표면을 연질의 녹방지 재료 및 플라스틱 시트 등으로 덮음으로써 PC강재와 콘크리트와의 마찰을 막은 PC강재. unbonded prestressing str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