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빈 콘크리트가 시간과 더불어 굳어가는 정도를 슬럼프의 차로 나타내는 것으로, 운반 시간이나 펌프 압송 거리가 클 때 및 타입 시간이 길 때 문제가 되는 일이 있다. 특히 여름의 타입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KS 슬럼프의 시험방법에 의해서 정해지는 값인데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consistency)를 나타낸다. 슬럼프 콘(slump cone) 상단에서 무너져 내려 앉은 콘크리트 꼭대기까지를 cm로 잰 값이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워커빌리티(workability)를 판단하는 하나의 방법이기도 하다. 그림과 같은 슬럼프 콘(slump cone)을 사용하여 콘을 除却할때의 정상부에서 밑으로 처지는 것을 측정해서 슬럼프로 한다. 슬럼프의 일반적인 값은 5∼12정도이다.
수중의 부유물이 침전하여 진흙상으로 된 것. 오니(汚泥)라고도 함. 슬럿지에는 다량의 물이 함유되어 있어 취급이 어려우므로 모래여과, 필터프레스, 진공 여과기 등으로 처리하여 보다 수분이 적은 슬럿지 케이크로 만듦. 이 케이크는 묻거나 콘크리이크 굳힘을 하거나 또는 소각시키거나 바다에 버려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재이용할 수 밖에 없음. 그러나 묻어 버리는 방법에는 2차 오염이 초래될 위험이 있으며, 소각이 곤란한 것도 있고 재이용의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아 그 처리에 곤란을 겪는 경우가 빈번함.
건조한 점성토의 덩어리나 이암(泥岩) 등의 연암(軟岩)을 급속히 수중에 담그면 내부에 갇혀 있던 공기가 뿜어나와 덩어리가 무너지는 현상.
건조한 점성토의 덩어리나 이암(泥岩) 등의 연암(軟岩)이 건습의 반복으로 붕괴하여 세편화(細片化)하는 성질을 살피는 시험.
장주기로 변동하는 표류력을 말한다. 매우 헐거운 계류 상태에 있는 부체(浮體)는 이 힘을 받아 매우 장주기의 동요 현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맞대기 저항 용접. 업세트 맞대기 용접의 속칭. 플래시 버트 용접에 비해 용접 시간이 걸리므로 이렇게 불린다.
탱크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요동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
강철제 부재 상호간을 볼트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 부재 상호간의 위치가 상황에 따라 변동할 가능성이 있거나 가설상 오차 등의 조절로 인해 부재 연결 위치의 볼트 구멍을 긴 원으로 뚫은 것을 말한다. 슬로티드 홀은 부재 쌍방에 뚫는 때와 한쪽에만 뚫는 때가 있으며, 신축 이음과 메인 거더 상 플랜지와의 부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