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의 타설 후, 그 표면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젖은 매트, 두께 2.5cm 이상의 습한 모래, 두꺼운 천, 방수지 등으로 덮든가 또는 살수, 침수(睑水) 등의 막양생을 하여 콘크리트가 건조하지 않도록 하는 양생.
단열변화에 의해 수증기가 포함된 공기가 100m 상승함에 따라 약 0.5℃의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말한다. 습윤단열감율이 건조단열감율보다 적은 이유는 응결할 때 잠열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단위 부피의 흙의 무게(토립자와 물을 포함)를 습윤밀도라 한다. 단위 부피 가운데 토립자만의 무게를 생각하였을 때 이것을 건조밀도라 한다. 건조밀도는 다져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서 습윤밀도와 함수비를 측정하면 계산에 의해서 얻어진다.
콘크리트를 친 후 일정기간을 습윤상태로 유지하는 양생
콘트리트에 쓰이는 시멘트 계면 활성제 중 특히 습윤 작용이 큰 것을 말한다.
자연적, 인공적, 영구적, 임시적 또는 정체된 물, 흐르는 물, 담수, 기수, 염수를 불문하고 소택지, 늪, 토탄지 및 수역을 말하며, 간조시 에 수심이 6m가 넘지 않는 해역을 포함한다. 습지는 호수에서 육지로 전환하는 생태적 천이단계의 중간단계로서 두 환경의 특성을 공유하며 각종 물질의 전환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생물이 다양하게 출연한다.
(습지보전법 제2조) 습지라 함은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를 말한다. 내륙습지는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 또는 소와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하며, 연안습지는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불도우저의 무한궤도 또는 리대(履帶)의 폭을 넓게 해서 접지압력을 낮게 한 것을 습지 불도우저라고 한다. 코운지수가 3이하의 연약지나 습지 등에서도 일이 가능하다.
습지 혹은 연약 지반에서의 흙쌓기, 압도(押土) 작업을 하기 위한 불도저. 캐터필러의 폭을 넓혀서 접지압을 낮게 하고 있다. 보통의 불도저의 접지압이 0.5k호/㎠ 정도인데 대해 0.3∼0.2kgf/㎡ 정도로 작다.
수준 측량에 있어서 야장 기입 방법의 하나이며, 후시(後視). 전시(前視) 이외에 승(+). 강(-)의 2란을 만들고, (후시-전시)가 (+)이면 승에, (-)이면 강에 기입하여 지반 높이로 하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