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로부터 아스팔트 성분을 가능한 한 변화시키지 않고 추출한 것. 아스팔트는 페트롤렌(petrolene) 또는 마르텐(marten)이라는 고점성의 오일상 또는 수지상의 물질 속에 아스팔텐(asphaltene)이라는 고분자의 고형물이 분산해 있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주로 페트롤렌의 성질에 지배되어 신축성 및 접착력이 좋기 때문에 포장 재료로서 사용되지만 감온비가 크다. - petroleum asphalt
원유를 상압 또는 감압증류장치에 걸어 경질(輕質)분을 없애고 얻어지는 피치(pitch) 물질이다. 석유 아스팔트 가운데 침입도가 40∼300의 범위에 있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침입도는 40∼120의 범위이고, 특히 60∼100에 대한 침입도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포장에 많이 이용된다.
콘크리트 구조체나 금속 재료에 붙여서 변형이나 응력을 측정하는 계기. 금속은 늘어나면 전기 저항은 증가하고, 줄어들면 전기 저항은 감소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
PC 강선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는 방법. 냉간 인발의 PC 강선에 실제의 시공에 사용하는 인장 응력보다 큰 인장 응력을 걸어 한 번 인장함으로써 인장 강도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고 릴랙세이션(relaxation)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항복 응력을 상승시킬 수가 있다.
피용접재를 구속하여 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기 위한 치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용 정착 공법의 하나. PC강 꼬임선을 앵커 헤드와 쐐기로 지압판에 정착하는 공법 외에 각종 공법이 있다.
영국의 항만 기술자 Tomas Stevenson이 제안한 공식이며, 대안 거리(對岸距離)에 의하여 파도의 높이를 추정하는 실험식. 대안 거리 F(km)에 대하여 파도의 높이 H(m)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H 0.75 + 1/3 {√(F-1/4) 4√F} 단, F < 600km
직경이 0.2∼0.6mm, 길고 짧은(장단) 비율이 60∼100의 탄소강을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의 혼합시에 대개 용적비로 1∼2% 투입해서 포장하는 공법을 말하는데 인장강도나 압축강도가 증가하는데서 균열이나 피로에 대한 지항성이 뛰어나다.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든 거푸집인데 내구성이 있고 시공정도가 높으며 수밀성이 좋다. 조립해서 해체하는데 조속히 할 수 있으므로 터널공사의 라이닝콘크리트의 거푸집 등에 사용된다. 메탈 포옴(metal form) 이라고도 한다.
스티임원으로서 배 위에 보일러를 설비하여 동력원으로 한다. 큰 타격스듬이 말뚝을 타설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고 설비가 복잡한 것과 타격 소리와 스티임 소리가 나고, 화기가 있는 등의 결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