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명은 분할법, 스웨덴식 슬라이스법이라고도한다. 경사면의 안정식 중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 스웨덴식 해법이다. 그 개념은 슬라이드면을 원호라 가정하고 토괴 ABC를 수직으로 가늘고 긴 때 모양의 절편으로 나누어 각 절편의 중량 W의 슬라이드면에 있어서의 평형을 생각한다. 각절편과 인접 절편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전체의 평형을 고려할 때 상쇄되는 것으로 보고 무시한다. C는 점착력, ψ는 전단 저항각이라 하고, W를 면에 수직한 힘 N
토질 조사에서 중추에 의한 침하와 더 회전시켰을 때의 관입량을 측정하는 시험법. 표준 관입 시험보다 간편하며 넓은 범위의 토질 조사에 이용된다.
정적인 사운딩의 일종으로, 찰흙에서 모래 지반까지 비교적 넓은 범위에 쓰인다. 끝에 스크루 포인트를 붙인 로드에 하중을 가하고, 하중을 가한 채 회전시킴으로서 지반에 관입시켜 지반의 연경(軟硬)등 대체적인 토질을 판정할 때 사용한다.
지반상 구조물의 진동 해석용 모델의 하나. 구조물의 기부에 지반 변형의 수평 성분인 스웨이와 회전 성분인 로킹의 스프링과 대시포트(dashpot)를 둔 진동계.
급경사 구간에 정차장을 만드는 경우 본선으로부터 완경사의 선로를 분기하여 열차의 발착에는 이 선을 사용하고 되돌아서 본선에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설비를 가진 정차장.
준설선이 작업 중 등에 선체를 좌우로(원호상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스윙 와이어)의 반력을 얻기 위하여 와이어 끝에 부착하는 중량물(앵커).
펌프 준설선이 굴진할 때는 좌우 바다밑에 스윙 앵커를 설치하여 선미의 스페이드(spade)를 중심으로 소정의 수심에 이르기까지 좌우의 스윙앵커에 연결한 스윙 와이어를 신축해서 행한다. 이 앵커를 스윙앵커라 한다.
암석조각 등의 비산을 적게 할 때 유리하고 그림과 같이 입갱의 굴착으로 물이 많을 때 이용하면 편리하다.
도심부나 역 주변의 건축물 상호를 도로 상공에서 연결하는 입체 보도교로, 일반적으로는 지붕. 유리벽 등으로 전체면이 차폐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방향을 가지지 않고 하나의 수치만으로 크기만을 표시하는 양으로서 방향의 구별이 없는 물리적 수량이다. 질량, 에너지, 밀도, 전기량 등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