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연기(smoke)와 안개(fog)의 공존 상태를 나타내는 합성어인데, 현재는 고농도의 대기 오염을 나타내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다.
smoke(연기)와 fog(안개)의 합성어. 연기는 매연을 말하고 안개는 기상 현상으로서의 안개를 지칭하는 것으로, 매연과 안개의 공존에 의한 대기 오염을 가리킴. 로스엔젤리스형 스모그, 런던형 스모그, 런던 살인형스모그 등이 있음. 공장에서의 배기 가스가 주요 원인이 된 스모그에는 뮤즈(Meuse) 계곡사건이나 도노라(Donora) 사건이 있음. 자동차의 배기 가스나 주요 원인이 된 스모그에는 로스엔젤리스형의 스모그가 있음. 가정 난방의 대기가스가 주요 원인이 된 스모그에는 런던형의 스모그가 있음. 일본 동경에서의 스모그는 자동차의 배기 가스나 공장에서의 배기 가스에 태양 광선이 작용하여 옥시탄트로 된 것임. 런던형 스모그는 1차 오염에 의한 것이지만, 동경의 스모그는 2차 오염에 의한 것임.
아스팔트 포장을 포설할 때 등에 작은 부분의 기복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인두 모양의 소도구.
견석(堅石 : hard stone) 터널의 굴착에 있어서 반단면, 전단면 굴착 등의 큰 단면 굴착 공법이 널리 채용되고 또한 긴 구멍 발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한 번에 대량의 다이너마이트를 폭발시키기 위해 굴착면이 거칠고 여굴(餘掘)이 증대해 왔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하여 최외곽 구멍의 간격을 작게 하고 폭파 속도가 느린 낮은 비중의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여 굴착면을 가능한 한 평활하게 다듬질하는 발파법이 있는데 이 발파법을 스무드 블라스팅이라고 한다
터널 굴착의 폭파 작업에 있어서 지산(地山)의 손상을 극력 피하고, 여굴을 적게 하며, 설계선에 가까운 굴착면을 얻을 수 있도록 고려된 폭파 공법.
굴착면을 가급적이면 평활하게 마무리하기 위해서 고안된 공법이다.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을 뚫는다. 스무우스 블라스팅에서는 바깥 둘레의 구멍에는 폭발 속도가 늦은 가비중의 적은 다이너마이트를 이용한다.
아스팔트 포장의 시공시에 사용하는 도구. 기계 시공이 곤란한 협소부 및 맨홀 등의 구조물 주변의 표면 마감에 사용한다. 사용 전에 충분히 가열해 둘 필요가 있다.
원리는 쿠션 발파공법(cushion blasting)과 같으나 맨 끝줄도 주굴착과 동시에 점화하여 끝 머리에서 폭파하는 공법이다. 맨 끝의 전단 굴착면은 가지런하게 주굴착의 폭파 구멍을 배치해 둘 필요가 있다.
선박의 동요를 표현하는 용어로, 선체가 좌우로 동요하는 경우를 말한다. 선박의 동요는 이 밖에 서지(전후 동요), 히프(상하 동요), 롤링(가로 동요), 피칭(세로 동요), 요잉(선수 동요)등이 있다. - surge, yawing
심해류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부표로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수 피트의 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원하는 깊이에서 중립부력을 이루도록 안정추가 있다. 송신신호를 받아서 추적함으로서 해류의 유향과 유속을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