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가 수축하면 인장응력을 일으켜 균열이 발생한다. 이같은 균열을 말하는데 찰쌓기(wet masonry)의 호안 등에서는 수축균열의 발생을 막기 위해 대개 15∼20m의 간격으로 두께 10∼20mm의 줄눈을 만든다.
수축 한계 이상의 함수량에 있어서 체적 변화의 비율과 그것에 대응하는 함수비 변화량과의 비. 이 값은 어느 정도 건조한 흙의 겉보기 밀도를 나타낸다.
콘크리트의 초기수축을 흡수하는 줄눈을 말한다.
콘크리트의 포장 등이 기온에 따라 신축하는 것을 줄눈이라 한다. 신축을 흡수하는 보드와 포장판의 힘을 절단하는 더우엘보우로 이루어진다.
콘크리트 합성 거더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거더와 상판 콘크리트 재령의 차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의 수축차.
제품 또는 부재 등을 받아들여도 좋은지 어떤지를 판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
지적 측량에 있어서 경계점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 지도에 표시하는 경우 제도 오차나 판독 오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땅 값이 높은 시가지 등에 적합하다.
지형의 위치 및 높이의 수치를 적당한 밀도로 배치하여 컴퓨터에 기억시키고 이 수치에 의해 표현되는 지형. 이 모델의 수치를 사용하면 조감도, 경관도, 면적 계산, 토공량 계산, 노선의 비료 설계 등을 작도하거나 계산할 수 있다. 그림에 일례가 나와 있다. DTM - digital mapping
해양현상을 지배하는 수학적 방정식을 수치적인 방법에 의해 구하는 기법으로서, 대상해역을 공간적 격자망으로 구성하고 각 격자에서 해양현상을 지배하는 수학방정식에 초기 및 경계조건을 부여하여 컴퓨터를 이용 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전체 해역의 해양 정보를 관측하지 않고도 간접적으로 과거, 현재 및 미래의 해양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