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은 수중에 어떤 이물질이 들어가 본래의 물 이용목적에 위배되었을 때를 말한다. 본래의 물 이용목적이란 주로 인간을 중심으로 생각하게 되지만, 때로는 본래 그 수중에 살고 있던 생물들이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오염이 되었다 되지 않았다 하는 것은 결국 인간이나 생물에 대해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따라 결정되며, 본래의 물 이용목적에 방해를 끼치는 이물질을 오염물질이라 한다.
오염물질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것도 있지만 주가 인간 활동의 부산물들이다. 도시하수나 공업폐수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에 의한 오염·유류오염·잔류성 농약에 의한 오염·중금속류·화력발전소의 분진이나 강물의 황토에 의한 부유물질·원자력발전소나 핵실험에 의한 방사성물질·발전소의 냉각수에 의한 열오염 등이 대표적인 오염물질이다.
자연환경은 이런 오염물질을 분해시켜 무해한 최종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자정작용 능력이 있다. 하지만, 자정능력에도 한계가 있어서, 어떤 한정된 지역에 너무 많은 양의 폐기물이 들어가 자정능력의 한도를 초과했을 때는 심각한 수질오염이 발생한다.
수압관 속을 낙하하는 물을 받아 회전하여 직접 연결된 발전기를 운전하여 발전하는 수력 기계. 물의 속도 에너지로 수차를 회전시키는 충동 수차와 물이 수차로 들어갈 때 압력형으로 되어 수차를 회전시키는 반동 수차가 있다.
수차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
수압관에서 나오는 물을 수차의 러너가 받아 고속 회전함으로써 발전하지만, 수차의 구조상 물이 가진 에너지를 전부 회전 에너지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 회전 에너지로 바뀐 정도를 수차의 효율이라 한다. (낙하 에너지) - (손실 에너지) 회전 에너지
하수도의 설비가 없는 곳에서 각 주택 혹은 여러 가구에서 오수를 모아두는 통.
댐 내부나 기초 내부의 침투수를 배제하기 위한 구멍. 일반적으로 양압력(揚壓力) 또는 간극압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여 만들어지는 것 외에 방류관 등의 물빼기를 위해서도 이용된다. 특히, 기초 암벽에 만들어지는 수챗구멍은 기초 처리 공법 중 가장 효과적인 공법의 하나로, 커튼 그라우팅의 바로 뒤에 5m 정도의 간격으로 막(幕) 모양으로 만들어지며, 커튼 그라우팅을 통해서 오는 침투수를 배제하여 기초 내부의 간극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기초의 안정을 증대시킨다
음용수(飮用水)를 정수(淨水) 또는 소독(消毒)하거나 음용수공급시설(飮用水供給施設)의 산화방지를 위하여 첨가하는 제제(製劑)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
물체의 길이, 치수가 작아지는 것.
물체의 길이나 체적이 작아지는 것.
오리피스 등에서 유출하는 물의 가장 축소된 부분의 단면적 a0 와 유출구의 면적 a 와의 비 a0/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