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692/1604)

기본수준면에서의 높이를 정확히 구하여 놓은 점으로 고저측량의 기본이 되는 점이다.
수준 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이며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표고)가 정확히 구해진다. 1등 수준점은 수준 원점에서 출발하고 주요 도로에 따라서 약 2km마다 설치되어 있다. BM
고저의 차이나 표고(해발고도)를 재기 위한 측량이다. 일반적으로 망원경과 수준기를 조합한 수평면(level)을 이용해서 측량한다.
수준측량은 어느 지점의 표고를 재는 것이다. 표고는 한국 수준원점에서 구한 수준점에서의 표고차를 재서 구한다. 이 측량은 레벨이나 표척을 사용한다.
기준면으로부터 구하고자 하는 점의 높이를 측정하거나, 두 지점 사이의 상대적인 고·저차를 구하는 측량을 말하며, 고저측량이라고도 한다.
밧줄, 말뚝, 판 등으로 수중 건조물의 위치, 높이, 형 등을 현장에 표시하여 기준으로 하는 것. leading frame
단위 체적의 흙이 물로 포화되어 있을 때, 지하 수위보다 아래에 있으면 부력을 받아서 그 체적만큼 가벼워진다. 이 때 공기 중의 중량으로부터 수중의 중량을 뺀 중량 rsub rsat - rw Fs - {1/1+e×rw(g/cm3)}
수중에서 사용하는 드릴. 해저에서 암반을 굴착하는 장치. 높은 수압하에서 주로 원격 조작에 의해 작동한다.
수중에서의 포화토의 겉보기 밀도. 포화토의 밀도에서 물의 밀도를 밴 밀도로, 1t/m3약이다.
수중에서 사용하는 불도저. 해저에서 토사를 이동시키는 경우 등에 사용한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