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드 터널이나 산악 터널의 2차 복공에 사용하는 이동식 강철제 거푸집. 이동 방식. 지지 방식. 타설 범위 등에 따라 여러 형식으로 분류된다.
(1) arch center (2) 뉴매틱 케이슨의 작업실 구축에 이용되는 동바리공. 절단날부 및 작업실 천장 슬래브를 구축할 때, 전체 하중에 대해 충분히 안전함과 동시에 해체가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센테에는 목제(木製), 강제(鋼製), 토사 센터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목제 센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강제는 중량이 크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별로 이용되지 않는다. 토사 센터는 현재의 지반 중 절단날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굴착하여 절단날
실드 굴착시의 센터 측량에 사용하는 도구. 알루미늄제 각 파이프 등의 온습도 영향을 잘 받지 않고, 튼튼한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고정 믹서로 비빈 콘크리트.
물막이 공사 중 수심이 매우 깊을 때에 이용하는 강 널말뚝. 특수한 Y형 또는 T형의 이음에 의해 2열의 널말뚝으로 하여 강성(剛性)을 높여 사용한다. 또한 안벽에도 이용된다.
측벽뿐이고 밑판이 없는 철근 콘크리트제의 박스 모양의 것으로, 속에 석재 등을 채워 중력식 구조의 제체(提體)로서 이용된다. 별도로 제작한 밑판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소규모 방파제, 안벽, 호안 등에 이용되는 수가 많다.
직선 강 널말뚝을 원통형으로 세우고 그 속에 토사를 채운 단체(單體)를 나란히 세워 아크부로 연결하여 만든 연속적인 벽체에 의한 가체절(假締切) 공법.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다른 공법에 비해 안정성이 크다. 일반 셀의 널말뚝 길이는 22m 정도이지만, 최근 많이 이용되는 프리패브 셀에스는 28m 정도의 것도 있다. 안정 계산으로는 셀 벽체를 강체(剛體)로 한 중력 댐 본체의 안정 계산과 널말뚝 응력 계산(굽힘 및 hoop tension), 밑둥묻힘
적선 형강 널말뚝을 타입하고 텔을 만들어 그 속을 토사로 채운 구조로, 셀이 평면형인 것에는 원형, 북 형, 클로버형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원형 셀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미리 공장에서 강판으로 셀을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 설치하는 강판 셀식이 있다.
플럭스가 들어 있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실드 가스를 공급하지 않고 하는 아크 용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