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공정표에 쓰이는 표현 수법으로, 마스터 네트워크로 나타낸 액티비티의 세부를 나타내는 공정표.
프로그램의 일부이지만, 반복 실행하는 부분을 본체로부터 독립시킨 프로그램. 서브루틴을 유효하게 사용함으로써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고, 보수도 용이하게 된다.
노반의 불량 위치 등에서는 노반에 대한 압력을 작게 하기 위해 두꺼운 도상(道床)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도상비의 절감을 위해 도상을 2층으로 나누고 하층 도상은 하천 자갈, 모래, 석탄재 등을 사용하는 수가 있다. 이것을 서브밸러스트 또는 보조 도상이라 한다. 또한, 한랭지에서는 배수를 좋게 하고 수분의 상승을 막아 동토를 방지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보수시에 포장판 아래의 공극(空隙)이나 공동(空洞)에 충전(充塡)하는 공법의 하나. 주입 혼합물에 따라 시멘트 스브실링, 아스팔트 서브실링으로 나뉘며 컴프레서. 모르타르 믹서. 모르타르 펌프 등을 이용하여 주입한다. 보강 효과는 노반보다 포장판에 있다.
부띠근, 철근 콘크리트 단면의 주근 주위를 둘러감는 띠근 이외에 주근을 잇고 있는 전단 보강 철근.
메인 트러스의 간격이 클 때 중간에 두는 보조적인 트러스.
도로에 있어서 교통 운용의 서비스 상태나 주행의 쾌적성을 나타내는 정성적 척도.
4지주 비계식 항타(杭打) 설비에 기계 전체를 매달고 간단하게 수중 굴착을 할 수 있는 버킷 래더식 굴착기.
해양환류의 서쪽부분에서 서안강화에 의해 생성되는 좁고 강한 해류를 말한다. 북아메리카의 동쪽해안을 따라 흐르는 멕시코만류와 일본의 해안을 따라 흐르는 쿠로시오해류가 그 예이다.
기온이 높을 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 물의 증발량을 적게 하기 위하여 골재, 거푸집 판자, 지반(地盤), 기초 등 물을 흡수하는 것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충분히 물을 흡수시킬 것,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되도록 낮게하여 30℃ 이상으로는 하지 않을 것, 건조에 의한 균열이 생기기 쉬우므로 충분한 습윤 양생을 할 것 등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