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623/1604)

실험 연구용의 미생물이나 병원체가 시설에서 누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새로운 공해.
하수 처리를 살수 여상법이나 활성 오니법 등과 같이 하수 속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는 방법. 상수도의 급속 여과법 등의 기계 화학 처리에 이용된다. - mechanical chemical process
하수 처리 수법의 하나. 미생물군의 구실을 활용하여 유기물을 안정화, 또는 분해하여 처리하는 것. 호기성(好氣性) 처리, 혐기성(嫌氣性) 처리가 있다.
부패성 유기물이 생물 화학적으로 산화하여 안정화하기까지 흡수하는 산소량을 말한다. 약자 BOD. 단위 ppm(g/m3). 매설물의 BOD 15000ppm 이라고 하면 생배설물 1m3가 안정화하는 데 15000g의 O2를 흡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먼지의 BOD는 5~10만 ppm이라고 한다. BOD
유기쇄설물이 해저의 퇴적물에 도착하면 대형저서동물을 비롯한 여러 동물들에 의한 섭식 및 분해활동으로 퇴적물의 표층 수 cm는 뒤죽박죽이 되는데, 이런 과정을 생물교란이라 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유기물이 퇴적물 속으로 전달되어 퇴적물 속에 서식하는 중·소형 저서동물의 먹이가 된다.
생물권에서 살고 있는 생물은 제각기 알맞은 환경에서 무리를 이루고 살아가는데, 이것을 생물군집이라 하며, 단일종 또는 2종 이상의 생물로 구성되어 있다.
지구상에서 생물이 존재하고 또 상호 물질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 전체를 나타내는 용어로서, 여기에는 암석권 일부와 수권 및 대기권 상당부분이 포함된다.
해양생물의 생리학적 활동에 의해 직접 만들어진 해양퇴적물로서, 일반적으로 연니라고도 하며, 대부분 생물의 골격이나 껍데기로 구성되어 있다. 생물기원 퇴적물은 유공충·익족류·코콜리소포아로 구성된 석회질연니와 방산충·규조류·규질편모류로 구성된 규산질연니가 대부분이며, 그 외에 산호초가 있다. 심해퇴적물은 풍성퇴적물이 대부분인 불태평양 해저를 제외하고는 생물기원퇴적물이 대부분이다.
살충, 살균 및 제초제와 같이 화합물로 된 화학적 농약 대신 사용되며 해충, 병균, 잡초의 천적(포식충, 기생충, 병원성 미생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농약의 총칭. 천연농약이라고도 한다. 또한 피레드린이나 니코틴처럼 천연에서 생산되는 동식물이나 광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그대로 이용하는 농약을 포함한다. 생물농약은 화학농약처럼 속효성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대상 해충에게만 효과가 있다는 선택성을 갖는다.
생물체 내에 특정 물질이 농축되어 축적된 현상을 말한다. 자연계의 생물은 식물연쇄 과정을 거치므로, 특정 물질은 하위의 생물로부터 상위의 생물로 이행하고 따라서 상위의 생물일수록 농축의 정도는 높다. 축적량이 점차 증가하여 허용량을 넘게 되면 생물체에 해를 끼친다. 녹색굴의 체내에 동이온이 수중 농도의 104-105배로 농축된 예를 보아도 수중에 극히 미량밖에 존재하지 않은 많은 금속이, 어패류에 의해서 점차 농축됨을 알 수 있다. 미나마타병은 메틸수은에 의한 생물농축의 전형적인 예이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