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재정공시 관련용어

목록내 검색
검색

16040건 (624/1604)

어느 지역 내에 생활하고 있는 생물의 현존량을 말한다.
담체(擔體) 표면에 필름 모양으로 부착한 미생물에 의해 배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 제거하는 방식. 담체의 형상, 충전 방법의 차이에 따라 접촉 폭기법(接觸曝氣法), 회전 원판 접촉법 등이 있다. 담체의 소재로는 판상(板狀) 플라스틱, 섬유상 플라스틱, 자갈 등이 있다.
배수의 생물학적 처리법의 하나. 생물 지지체의 표면에 부착 생성한 생물막에 오수를 접촉시켜서 정화하는 방법.
동물·식물·미생물 등 생물체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인류가 필요로 하는 각종 유용한 물품을 상업적으로 생산하는 산업군을 말한다. 의약, 환경, 화학, 식품, 전자, 에너지, 농업, 해양 등 관련분야가 다양하다.
어느 지역 또는 지리적인 구역에 볼 수 있는 생물의 전 종류를 말한다.
오염된 물의 수질을 표시하는 한 지표로서, 미생물에 의하여 유기물질이 산화 분해될 경우에 소비되는 산소의 농도를 말한다. BOD는 100%의 산소농도와 20℃의 어두운 곳에서 5일 후에 소비된 산소농도로 측정된다. BOD가 높다는 것은 수질이 오염됐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중에 유기물이 많아서 용존산소를 많이 소비하여 산소부족으로 어패류에 피해를 주게 된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통상 BOD(Biological Oxygen Demand)라고 부른다. 물의 유기오염 지표의 한가지로서 어떤 물속의 미생물이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 안정시키는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즉, 어느정도 오염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호기성(산소를 필요로 하는)박테리아가 일정 시간내 (보통20도씨에서 5일간)에 물속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켜 정화하는데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ppm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이 오염되어 있으며 유기물이 많게 되고 따라서 유기물을 박테리아가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산소의 양도 증가한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오염된 물 속에서 산소가 결핍될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는 것이다. 1ℓ의 물속에 1mg(1,000분의 1g)의 산소가 필요할때를 1ppm이라고 한다. 음료수는2ppm이하가 적당하고,농업용수는 5ppm좋다. 5ppm이상이 되면 하천은 자기정화 능력을 잃으며,10ppm을 넘을 때는 나쁜 냄새를 풍긴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제거하는 처리 방식. 이용하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호기성(好氣性) 처리와 혐기성(嫌氣性) 처리로 대별된다.
ㅇBiological Products ㅇ백신, 혈청 및 항독소 등을 말하며 그 특성으로 물리적, 화학적 시험만으로는 그 역가와 안전성을 평가할 수 없는 생물체, 생물체에서 유래한 물질을 함유한 의약품
배수중의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한 시간 안에 유기물을 분해하여 무기물로 변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산소량이다. 단위는 ppm로서 환경보전법에 규제된 값은 160ppm(일간 평균 120ppm이하) 이다.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